국보급 문화재인 문무대왕비 상단부가 200년 만에 발견됐지만 방치되고 있다.
신라시대 경주 사천왕사에 세워졌던 문무왕릉비는 조선시대 1796년(정조 20년) 경주부윤을 지낸 홍양호(1724~1802·이계집)에 의해 발견됐다가 이달 3일 경주시 동부동 경주문화원 인근 송모씨의 마당에서 수도검침원 최모(45·여)씨에 의해 수돗가 콘크리트 바닥에 묻힌 상태로 발견됐다.
하지만 비편은 박물관 등 '안전한 장소'로 이전되지 않은 채 장독대 옆에 방치되고 있어 도난 및 파손 우려가 높다.
문화재 관계자는 "문무대왕비는 학술적으로 엄청난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금전적으로 환산할 수 없는 귀중한 문화재"라며 "200년 만에 다시 발견된 귀중한 문화재를 이렇게 허술하게 관리하면 어떻게 하느냐"고 지적했다.
문화재 보존법에는 문화재가 발견되면 곧바로 문화재청 보고와 감정평가 후 보상금 지급, 문화재청의 귀속명령, 보존처리 후 박물관 내외에 보관 또는 전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에 대해 경주시청 관계자는 "감정평가한 후 관례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하고 박물관에서 보관처리해야 하지만 집주인이 허락을 하지 않아 옮기지 못하고 있다"면서 "문화재청과 박물관 등 관련 단체에 질의해도 방법이 없다는 소리만 되풀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경주박물관 김승희 학예연구실장은 문무대왕비편은 하루빨리 이전해 보존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강제 귀속 등 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