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비 절감이유 대량해고 뒤 치안 공백
대구시내 아파트들이 경비원 해고에 따른 '딜레마'에 빠졌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촉발된 경비원 대량 해고 후 아파트 치안 공백 및 생활 불편 호소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입주민들은 '경비원 재고용이냐, 비용 절감이냐'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대구 수성구 A아파트는 요즘 야간 경비원을 1명에서 2명으로 늘리는 안을 놓고 입주자 찬반 투표를 하고 있다. 최근 도난사고가 잇따르자 입주자대표회의를 열어 야간 경비원을 늘리는 데 대한 주민 의견을 듣기로 한 것이다. 이 아파트는 앞서 지난 6월에도 경비원을 늘리는 안을 놓고 찬반투표를 했으나 부결된 적이 있다.
이 아파트 주민들은 "관리가 예전보다 못하다"며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한 입주민은 "관리비 절감을 위해 경비원을 줄인 후부터 아파트내 도난 사고가 늘어나고 있다"며 "유리를 깨고 차량을 뒤지기도 해 불안하다"고 했다.
경비원 해고 후 무인경비 시스템을 도입한 아파트에서도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얼마전 무인시스템을 설치한 수성구 B아파트 주민들은 택배·우편물 수령, 어린이 보호, 주차관리 등 생활 불편이 커졌다고 불평한다. 차량이 긁혀도 접촉사고를 낸 이웃 입주민을 찾아내기가 '하늘의 별 따기'란다.
한 주민은 "입구 비밀번호 시스템 때문에 바깥에 나갈 때마다 일일이 카드키를 챙겨야 한다"며 "노인이나 어린이들은 카드를 잃어버리고 혼쭐이 나기도 한다"고 했다. 막상 관리비 부담이 크게 줄지 않은 것도 불만이다. 주민들은 "관리비가 지난해 같은 시기와 거의 비슷하다"고 했다.
그러나 아파트 입주민들은 단 몇 만원의 관리비라도 아끼고 싶은 심정이다. 무인시스템 설치에 억대의 비용을 지출한 것도 부담이다. B아파트 주민들은 "초기 투자 비용 때문에 2년 정도 경비원 임금만큼 관리비를 부담해야 하는 걸로 들었다"며 "무인시스템보다 경비원을 그대로 두는 게 더 나았을지도 모르겠다"고 아쉬워했다.
대구 아파트사랑 시민연대에 따르면 경비원 임금이 현행 최저임금의 70% 수준(2007년), 80%(2008년)에 이어 100%(2009년) 보장식으로 해마다 증가하면서 경비원 해고 추세가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다. 2006년 말 대구 아파트 경비원 수는 8천300명 선이었지만 올 초 5천명 수준으로 급감했고, 연말에는 3천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아파트사랑 시민연대 신기락 사무처장은 "경비원을 두더라도 사실 경제적으로 큰 손해는 없다. 오히려 소형 아파트는 경비원을 두는 것이 관리 면이나 범죄예방 면에서 더 좋다"면서도 "이미 대형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인건비 절감 차원의 무인시스템 설치가 끝나 이를 변경하기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