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도·고가로 12개 공사…대혼란 불가피
경부고속철도를 가로지르는 지하도의 통행이 차단되면 대구 도심의 소통은 '동맥경화' 상태에 빠지게 된다.
공사가 마무리되는 2014년까지 남북 간을 오가는 통로가 차단돼 극심한 교통 체증은 물론 인근 상권 침체와 주민 불편으로 큰 혼란이 불가피한 형편이다.
◆지하차도 공사, 어떻게 진행되나?
고속철도변 정비사업 구간에 포함된 횡단시설은 평리·비산·원대·태평·칠성·동인·신암지하차도와 서평지하차도(신설) 등 9곳과 성동고가도로, 신천푸른다리, 비산보도육교 등 12곳이다. 공사는 8~10단계로 나뉘어 진행되며 하수도, 도시가스, 전력선 등 지장물을 공사 상황에 따라 옮겨야하는 난공사다.
지하차도 통행 방식도 난제다. 현재 지하차도 일부 차로를 가변적으로 통제하며 공사를 진행하는 방식과 지하차도를 아예 막고 공사를 진행하는 방식 등이 거론되고 있다. 두 방식 모두 장·단점이 있다. 가변적으로 통행을 제한하는 방식은 지하차도를 동·서·남·북으로 2, 3개 차로씩 4단계에 걸쳐 교통을 차단하게 된다. 이 경우 차량 통행은 제한적으로 가능하지만 공사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적어도 4, 5년간 대구 도심을 남북으로 잇는 도로는 극심한 교통 정체를 피할 수 없다. 또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전까지 공사를 마무리하기 힘들다는 것도 단점. 공사에 착수한 지하차도의 통행을 완전히 차단할 경우 공기는 줄일 수 있지만 인근 상권이 극심하게 침체되고 주민들이 통행에 큰 제약을 받게 돼 극심한 반발이 예상된다. 또 이 일대를 지나는 시내버스 노선의 대대적인 수정이 불가피해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
◆어디가 가장 막힐까
공사가 시작되면 지하차도 일대는 물론, 도심 전체가 교통 지옥으로 변하게 된다. 200~300m의 장대레일을 깔아야하는 고속철도 공사의 특성상 각 구간이 큰 시차없이 공사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우선 도시철도 3호선과 만나는 원대지하도가 치명타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기존 차로가 막히는데다 철도 남·북편으로 도로 중앙을 따라 교각이 각 2개씩 설치돼야 하기 때문. 결국 왕복 4차로인 도로 대부분을 막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이 오게 되는 셈이다. 통행량이 많은 중구 동인지하차도와 서구 평리지하차도도 교통 지옥이 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대구시가 조사한 교통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리지하차도와 가까운 만평네거리의 경우 출근시간대인 오전 8~9시 차량 통행량이 6천734대나 됐고, 6시간 평균 교통량도 3만3천677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6차로인 평리지하차도가 3차로로 줄어들 경우 도로 부담이 두 배 이상 치솟게 된다는 것이다.
신천대로도 교통 지옥이 될 수 있다. 도시고속도로인 신천대로의 차로 수가 줄어들 경우 그 여파는 일반도로의 2, 3배가 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신천대로 1차로의 잠식은 일반도로의 3, 4개 차로와 맞먹는다고 지적한다. 실제 최근 열린 교통처리계획 자문회의에서 전문가들은 "공사비가 얼마가 더 들든, 공법을 바꾸는 한이 있어도 절대 신천대로의 차로를 잠식해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공사 구간만이 아니다. 차량들이 상대적으로 통행이 수월한 동대구로와 대구역지하차도로 몰려들 가능성이 높고, 정체 구간이 도심 전체로 번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구시 관계자는 "효목고가교의 경우 따로 교통 소통 대책을 위한 용역을 실시하고 대책을 마련한 결과 예상보다는 정체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용역 결과와 함께 교통처리계획 자문회의를 지속적으로 열어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다함께 머리를 맞대야
전문가들은 대구시가 상황을 안이하게 판단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4년 이상 대구 도심이 교통 대란에 시달릴 심각한 문제임에도 용역 결과만 바라보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 더구나 고속철도변 정비 사업을 앞두고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공사에 들어가고, 내년부터 동대구로를 축소해 도심디자인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세우는 등 부서 간 불협화음까지 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통 전문가는 "지하차도 개량 공사는 대구를 남북 간으로 차단하는 만큼 지하철공사와는 차원이 다른 문제"라며 "시와 시민단체, 경찰, 전문가 집단까지 함께 대안을 논의하는 공개토론회를 여는 등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해야한다"고 말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