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여의도·박근혜·불교계" 끌어안아
이명박 대통령이 3일 단행한 중폭 개각은 화합과 소통을 향한 의지 표명이란 평가다. 충청 끌어 안기-여의도 끌어 안기-박근혜 끌어 안기-불교계 끌어 안기 성격이 공존한다.
정운찬 국무총리 발탁은 이 대통령의 중도실용과 친서민 국정 어젠다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인물이어서다. 그러나 정 총리 후보자가 충청 출신이란 점도 고려됐을 것이란 풀이다. 세종시 건설 문제로 충청 민심이 심상치 않아 국정을 원활하게 운영하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충청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충청 총리'가 필요했다는 얘기다.
최경환 지경장관, 주호영 특임장관, 임태희 노동장관 기용으로 장관 16명 가운데 국회의원 출신은 유임된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과 함께 5명으로 늘었다. 정치인 입각 폭을 늘려달라는 한나라당의 건의를 수용, 여의도와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포석으로 읽힌다.
최 지경장관 후보자는 친박근혜계여서 주목받고 있다. 이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표를 특사로 임명해 유럽에 보낸 데 이어 최 의원을 중용하면서 박 전 대표와 화해의 물꼬를 텃다는 평가다. 물론 친박계 일각에서는 일잘하는 사람이어서 발탁한 것일 뿐이라고 짐짓 딴청이다. 박 전 대표가 그렇게 말한 탓도 있다. 박 전 대표는 친박계 장관 기용에 대해 대통령과 당사자가 판단할 일일 뿐이라며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일종의 원칙이다. 하지만 박 전 대표가 최 지경장관 기용에 대해 언짢아 할 일은 전혀 아니다.
주 특임장관 후보자는 불교계의 신망이 투텁다는 점이 장점이다. 화가 나 있는 불교계를 다독이기 위해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이 대통령에게 꼭 필요한 사람이다. 특임장관의 주된 역할은 정무와 대북 관계다. 하지만 법상 대통령의 지시 사항을 이행하도록 돼 있어 불교계와 소통 등 어떤 역할이든 수행할 수 있는 자리가 특임장관이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최 지경장관에게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지경부는 과거 산자부에다 정통부, 과기부 업무까지 합쳐 실물 경제의 70%와 관련 있다. 이명박 정부의 핵심 정책인 녹색산업 주관 부처이기도 하다.
지경부 관련 지역 현안도 산적하다. 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 조성 사업, 대구·포항 국가산업단지 조성 및 육성, 대구테크노폴리스 육성 등 대형 현안이 지경부와 직결돼 있다. 이 때문에 최 지경장관 후보자가 국가를 위해서는 물론 지역을 위해서도 큰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적이 없는 주 특임장관은 대통령의 지시를 직접 받는다는 점에서 '실세 장관'이 될 공산이 크다. 힘이 실리는 만큼 일도 많이 할 수 있다. 대구경북이 추진하고 있는 각종 현안 해결의 큰 원군이 될 것이란 기대가 그래서 나오고 있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