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사회통합 대승적 차원서 '결단'

입력 2009-08-20 09:38:28

국장 결정 배경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가 국가 최고 예우인 국장(國葬)으로 엄수된다. 전직 대통령으로서 파격이다.

이 같은 결정에는 고인이 지난 50년간 한국 정치의 거목으로서 이룩한 업적과 성과가 가장 크게 작용했다. 한평생 민주주의와 민족 화해 협력, 인권에 헌신한 김 전 대통령의 영면에 대한 국민적 애도 분위기를 담기에 국민장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을 감안한 조치로 보인다. 국장이냐 국민장이냐 논란도 없지 않았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대승적 차원'에서 국장을 엄수키로 결단을 내리면서 신속하게 정리됐다는 후문이다. 정치권도 역사의 뒤안길로 들어선 '행동하는 양심'의 국장 결정에 대해 '합당한 결정'(한나라당), '당연한 결과'(민주당), '마땅한 도리'(민노당)라며 이견 없이 수용했다.

정부는 당초 관례와 형평성에 따라 김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민장으로 거행할 방침이었다. 특히 청와대와 정부는 19일 오후 8시 임시 국무회의가 열리기 직전까지도 국장 여부를 놓고 논란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와 정부는 수차례 숙의를 거듭했으나 원칙과 관례, 차후 전직 대통령 장례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국민장으로 가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분위기였다. 그러나 호남 민심과 향후 대야 관계, 원활한 국정 운영 등을 감안해 국장을 선택한 것 아니겠느냐는 정가의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유가족의 뜻을 존중하고 고인의 생전 업적을 기리며 이를 통한 사회 통합의 대승적 의의를 위해서 국장을 추진키로 의결했다"고 설명했다.

서거한 전직 대통령 가운데 국장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유일했다. 최규하 노무현 전 대통령은 국민장으로, 이승만 윤보선 전 대통령은 가족장으로 치렀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