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개발로 시너지 극대화…신성장동력 본격 가동
2015년쯤이면 대구권의 경제산업지도가 지식창조형 산업으로 변모하게 된다.
11개 지구로 구성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기반조성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유치가 가시화 되고 있고, 성서5차단지, 이시아폴리스 등은 9월부터 입주기업들의 공사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11개 지구는 저마다 다양한 개발전략을 갖고 있는 가운데 고유한 특징도 갖추고 있다.
◆달성 대구테크노폴리스지구
올해 말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통해 대전-대구-광주를 잇는 내륙 첨단 과학벨트의 축으로, '영남권 R&BD 허브'로 개발된다. 지난해 11월부터 올 상반기까지 4개 공구로 나눠 착공에 들어간 기반조성공사는 순조로운 공사 진척도를 보이고 있어 2012년에는 기반조성이 마무리된다. 연구단지(130만5천㎡)에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등 정부출연연구소 건립과 경북대 융합기술대학원, 계명대 지능형자동차대학원 입주가 확정되면서 잔여부지는 37만9천㎡만 남았다.오는 10월 착공, 2011년 개관 예정인 국립대구과학관(11만7천㎡)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전시, 교육, 연구기능을 갖춘 랜드마크 건물로 설계되고 영남권 지역주민의 과학문화 체험기회를 제공하는 산실이 된다.
DGFEZ는 내년 상반기 토지공급이 예상되는 산업단지(155만3천㎡)에 IT융·복합(로봇, 의료기기), 미래형 자동차(지능형 자동차), Clean Tech(신재생에너지), 메카트로닉스 관련기업을 집중 유치한다.
◆성서5차첨단산업지구
지난해 4월 기반조성공사에 들어가 개별기업 공장 착공은 9월부터 가능하며 2단계(2010년 6월), 3단계(2010년 12월)로 나눠 산업용지를 순차 공급하되, 기업의 신규 투자에 필요한 산업용지를 최대한(66만5천㎡) 제공할 계획이다.
접근성이 뛰어나고 성서·구미 산업단지와 클러스터 형성이 가능한 매력 때문에 STX그룹내 조선용 핵심부품 기업인 STX엔파코(주)가 2천억원, 전기자동차 분야의 세계적 기술을 보유한 완성차 메이커로 미국 LA에 본사를 둔 레오모터스가 1억달러, 레이저기술 및 금속절곡기 분야의 세계적 리딩기업인 독일 트럼프(TRUMPF)사가 3천만달러를 투자키로 하는 등 투자유치가 잇따르고 있다.
DGFEZ는 이 지구에 R&D와 연계된 자동차부품, 메카트로닉스, 신재생에너지, 모바일·IT산업 등 첨단업종을 타깃으로 대구경제를 선도할 신성장동력 업종의 국내 대기업 및 외국인투자기업을 우선 유치한다.
◆ 수성의료지구
DGFEZ의 대표적 지식서비스존이다. 대구 수성구 대흥동과 고모동, 이천동 지역내 178만9천㎡(약54만평)의 부지위에 건설되며 암, 심장, 당뇨병 등 만성질환과 재생의학, 대체의학, 의료관광 등 미래수요가 큰 분야의 외국병원, 임상센터, 국제학교, 의료관광시설 등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월 개발사업시행자로 선정된 대구도시공사는 2010년 상반기까지 지식경제부에 실시계획 승인신청을 받아 2010년 하반기부터는 토지보상과 함께 사업착공에 들어가 2014년에 단지조성공사를 완료한다.
◆국제문화산업지구
문화산업클러스터, 문화산업진흥지구, 경제자유구역으로 동시 지정받은 문화산업의 거점지역이다.
이 지구는 IT 및 CT, IPTV, 디자인 분야의 기업, 연구소, 교육기관 등 문화산업 관련분야를 집적시켜 개발·생산·유통·체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세계적 명성의 문화산업 거점지역으로 키워진다.
올 해 초부터 프랑스의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과 접촉, R&D센터 이전을 협의중에 있으며 조만간 가시적 성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지식경제부에 실시계획 승인신청을 하고 2014년까지는 단지조성이 완료된다.
◆국제패션디자인지구(이시아폴리스)
대구 동구 봉무동 일원 117만6천여㎡에 도성되는 이시아폴리스는 주거, 상업, 환경이 공존하는 패션을 테마로 한 자족형 복합신도시 개발사업이다. 지난 6월 분양에 들어간 산업시설용지는 7월 말 현재 65%의 분양률을 보이고 있으며 3천600가구의 공동주택도 오는 11월 1차로 600여 가구를 분양할 방침이다.
내년 9월 미국의 학교법인 리 아카데미(Lee Academy)가 운영하는 대구국제학교가 개교한다. 졸업후 미국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내국인 입학비율은 30%(120명)선. 한국봉제기술연구소와 섬유패션대학이 입주하고 스포비즈 연구센터는 지난 6월 착공, 내년 7월 준공예정이다. 롯데쇼핑의 명품 아울렛 매장들이 입점하게 되는 복합쇼핑몰 '라이프스타일센터'공사도 9월에 착공에 들어간다. 라이프스타일센터에는 140여개의 브랜드가 입점하며 영화관, F&B, 리테일, 스파 등이 입점한다.
◆구미디지털산업지구
세계적 수준의 IT융복합단지 및 그린에너지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내년 하반기 착공. 2011년 분양, 2012년 기업 입주가 가능하다. 중점 유치 분야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IT공정과 유사성이 높아 지역산업의 업종전환 등이 유리한 태양광산업, HEV 및 전기자동차와 휴대폰, 노트북 등 첨단융합기기의 핵심부품인 차세대전지산업 등 그린에너지산업, 모바일, 디스플레이, 섬유, 에너지 등 지역내 산업과 연계성이 높은 첨단IT부품소재산업, 지역의 향후 성장동력이 될 스마트그리드산업 등 4개 분야이다
DGFEZ는 구미의 주력산업인 반도체TFT-LCD공정과의 연관된 태양광, 휴대전원용 연료전지기업을 집중 유치할 계획이다. 현재 일본의 S사, 중국의 F사와 투자유치를 협의중에 있다.
◆경산학원연구지구
이곳은 내년 하반기 착공하여 2011년 분양, 2013년 기업 입주가 가능하다. 국제에듀파크, 첨단의료기기밸리, 그린부품소재밸리, 첨단그린융합R&D클러스터로 조성된다.
국제에듀파크는 최고의 교육환경을 갖춘 교육단지로서, 경산지구의 특화산업에 필요한 경쟁력 있는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며
첨단의료기기밸리는 첨단의료기기와 LED조명관련 업체들을 집적시켜 의료기기와 LED산업중심의 첨단 그린부품소재 공급기지로 조성한다. 첨단그린융합R&D클러스터에는 첨단의료기기와 LED기술관련 R&D센터, 벤처기업, R&D형 기업, 전 임상시험기관 등을 집적시키고 경산국제에듀파크와 함께 산업지구에 입주한 업체들을 지원한다.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
이곳은 구미(전장)-대구(메카트로닉스)-영천-울산(완성차)으로 이어지는 오토밸리의 중심지로 영천지역에 위치한 자동차부품산업은 물론 기술융합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자전거 부품산업. 중장비, 조선, 항공 부품업체가 집적된다. 자전거산업 집적화단지(16만5천㎡) 조성과 국내 유일의'미래형 자전거 부품 R&D 센터'를 건립할 예정으로, 첨단수송부품소재 단지와 R&D 기반이 가미된 인더스트리얼 파크(Industrial Park)형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DGFEZ는 내년 9월 토지개발 및 분양을 할 예정으로 현재 20% 정도의 토지보상협의가 완료된 상태이며, 2011년 초·중반부터 공장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3.3㎡당 40만원대에 분양된다.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
영천 중앙동·화사면 일원의 이 지구는 그린에너지와 첨단 메카트로닉스 산업을 중심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R&D시설과 산업기반이 조화롭게 결합된 사이언스 파크(Science Park)형으로 개발된다. 2011년에 본격적으로 토지개발 및 분양이 개시되며, 2020년까지 개발된다.
미래형 자동차테마파크로 랜드마크를 만들고 테마단지 내에 미래형 수송시스템 실증단지를 조성해 수송용 차량에 대한 기술상용화를 지원한다. 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이 이곳으로 이전되며 '천연염색진흥원' 도 설립된다. 또 첨단부품 물류센터를 조성, 영천내 소규모 소규모 물류시설을 통합하고 출하, 집하 및 유통기능까지 수행할 예정.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수소연료전지 시범타운 및 로봇벤처타운으로 조성된다. 내년 하반기 착공해 2011년 분양, 2012년 기업 입주가 가능하다.
그린에너지, 부품소재(로봇분야), 바이오·의료기기 분야 기업을 중점 유치한다. 포스텍,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을 활용해 연구와 생산을 연계, 수소연료전지 생산과 관련한 전반적인 인프라(R&D, 생산, 실증, 보급)를 제공하는 수소연료전지 시범타운을 조성한다.
부품소재산업에서는 포항지능로봇연구소(전문서비스용 로봇분야), 나노기술집적센터(반도체, DP분야) 등의 지역 R&D 인프라를 활용해 관련기업을 유치하고, 로봇부품밸리, 로봇연구센터, 로봇체험주거단지 등의 로봇벤처타운을 조성해 로봇산업단지로 특화한다. 생명공학연구센터(심혈관, 항암제)와 가속기연구소의 기초연구 기능을 활용해 바이오·의료기기 업체를 중점 유치한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