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하면서 노인인력 활용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노인들을 위한 제대로 된 일자리가 없어 일하고 싶어도 못하는 노인들이 많은 실정이다. 지역의 경우 노인일자리 사업 유관기관 간의 연계체제가 허술하고 노인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지원도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일하고 싶지만…
3년 전 교편을 놓은 김모(65)씨는 하루하루가 무료하다. 35년간 중학교에서 국사 등을 가르쳐온 경험을 살려 퇴직 후 문화재해설사로 일하고 싶었지만 2년째 마땅한 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구직의 문을 수십 차례 두드렸지만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번번이 퇴짜를 맞았다고 했다. 김씨는 "경력을 살려 일할 수 있는 직장은 이제 바라지도 않는다. 경비직이라도 좋으니 일할 곳이라도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구의 경우 2008년 65세 이상 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18.7%로 전국 평균(29.6%)에 턱없이 밑돌았다. 경북의 경우 44.5%로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지만 이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농업에 종사하기 때문이다.
대구경북연구원 박은희 부연구위원은 "고령층(55~79세)의 절반이 넘는 57.1%가 향후 취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돼 노인들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대구경북의 노년부양비가 지난해 대구 12.6%, 경북 21.8%로 2004년보다 각각 2.6% 포인트, 3.1% 포인트 증가해 노인 인력 활용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인 인력 활성화 시급
전문가들은 노인인력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선 노인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영남대 김한곤 교수(사회학과)는 "고령 구직자와 기업 간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노인들이 많다"며 "경력, 적성 등 노인인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부터 선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 노인인력개발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광역 및 시·군별 노인일자리 지원협의체를 구성해 차별화된 지원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최근엔 경기도 노인일자리 전담기관인 경기실버뱅크와 경기농림진흥재단이 '노인 녹색 일자리 발굴'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부산시는 지난해 10월 민간분야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담기관으로 고령인력 종합관리센터를 설치해 노인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오고 있다. 또 정기적인 민·관 합동 워크숍을 통해 시 차원의 노인일자리 창출에 힘쓰고 있다. 경남도의 경우도 지난 3월 노인일자리 창출지원 조례를 제정하는 한편, 마산·김해·창원시 등에 노인일자리 창출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지속적으로 노인인력을 관리해오고 있다.
하지만 대구경북에는 노인일자리창출지원센터가 경북의 포항, 구미 등 2곳뿐이며 지난달에야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대구경북본부가 생겼을 정도로 정책이 걸음마 수준이다. 대구 한 시니어클럽 관계자는 "대구경북은 노인 일자리 사업이 공공근로 등 단기적이고 소극적인 일자리 제공에 치중하고 있다"며 "고령사회를 대비해 노인인력개발계획 수립 등 중·장기적인 노인일자리 사업 계획과 지원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