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포인트제'는 가계 도우미

입력 2009-07-30 09:36:24

전기·수도 사용량 줄이면 상품권…대구시 참여가정 적어 홍보 강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이산화탄소 감축 운동의 하나인 탄소포인트제가 지난 1일부터 대구시내 전 지역으로 확대 실시됐지만 홍보 및 시민들의 관심부족 등으로 참여도가 저조하다.

대구시내 8개 구·군청에 따르면 29일 현재 탄소포인트제 신청 가구는 5천여가구에 불과하다. 대구시 전체 90만가구의 0.5%에 불과하다. 예산 문제로 구·군당 모집 가구수를 대부분 1천가구 이하로 제한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도 참가 가정이 너무 적다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목표치를 달성한 자치구는 북구(600가구 모집에 1천여가구 신청) 한 곳뿐이며, 근접한 곳도 중구(1천가구 모집에 700여가구 신청) 정도다. 달서구는 870가구가 신청을 했지만 당초 목표치(최대 3천500가구)에는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시범지역으로 선정돼 이미 탄소포인트제를 실시하고 있는 수성구와 달성군은 추가 모집 실적이 미미한 수준이다.

관계자들은 탄소포인트제 참가 실적이 저조한 이유로 홍보 부족을 꼽았다. 서면과 인터넷(www.cpoint.or.kr)으로 개인이 직접 신청해 주민들이 신청방법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A구청 관계자는 "문의 전화가 오긴 하지만 어떻게 신청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했다.

인센티브가 적은 것도 참여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려면 생활에 많은 변화가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불편에 비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한 주민은 "이산화탄소 10g당 3원 수준인데 불편에 비해 보상이 너무 적다"고 말했다. 인터넷에 가입해 매월 요금고지서와 사용자 고유번호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것도 불편하기 짝이 없다.

전문가들은 참여 열기를 높이기 위해 참가절차 간소화는 물론 적절한 보상과 홍보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구 에너지시민연대 관계자는 "탄소포인트제 참여가 당장은 불편하더라도 에너지 절약을 통해 전 지구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끊임없이 알려야 한다"며 "이와 함께 적절한 금전적 보상책을 제공하면 시민들의 참여도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시행초기여서 시민들의 참여가 부족하지만 홍보가 되면 점차 나아질 것"이라며 "구·군 관계자들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탄소포인트제 참여 유인책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탄소포인트제=가정이나 상업시설, 기업이 자발적으로 감축한 온실가스 감축분에 대해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 1년 뒤 전기·수도 등의 사용량 감축 실적에 따라 공공시설 이용권, 재래시장 상품권, 사회봉사실적 인정 등의 혜택을 준다. 전기 1㎾는 이산화탄소(CO2) 424g, 수도 1㎥는 CO2 587g으로 계산하며, CO2 감소 10g당 1포인트로 계산해 포인트당 3원 정도로 정산해 각 지자체 사정에 따라 현금이나 재래시장 상품권, 주차권, 쓰레기봉투 등의 보상품을 제공한다. 재원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절반씩 부담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