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형 준
空中이란 말
참 좋지요
중심이 비어서
새들이
꽉 찬
저곳
그대와
그 안에서
방을 들이고
아이를 낳고
냄새를 피웠으면
空中이라는
말
뼛속이 비어서
하늘 끝까지
날아가는
새떼
빈 것에 대한 시인의 시선은 대체로 경이롭다. 박형준은 그러한 경이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서 빈 것을 생활 근처로 끌어당겼다. 빈 곳은 우선 새들의 공간이다. 공간의 상상력은 자유와 가장 밀접한데, 시인은 그 무한공간에서의 살림을 생각한다. 다정이란 말이 떠오른다. 다시 빈 공간은 자연의 뼛속이란 상징계를 만든다. 뼛속이란 말 그대로 그곳은 시리고 아픈 몸의 공간이다. 그 공간은 새떼의 뼛속이기도 하고, 뼛속의 새떼이기도 하다. 전자와 후자는 서로 순환하고 있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