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아이디로 여러 웹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는 인증서비스인 오픈 아이디(ID) 바람이 불어오고 있다.
인터넷이 생활의 불가결한 활동이 되면서 다양한 웹사이트에 가입해야만 해 여간 번거롭지 않다.
사이트마다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다르게 설정했을 경우 이를 잊어버렸을 때 곤란한 경우가 많다. 아직 국내에서는 오픈 아이디 문화 형성은 더딘 상황이다.
해외에서는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등이 참여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참여하는 사이트는 40여개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유력 사이트도 몇 개에 불과한 실정.
대신 오픈 아이디와 유사한 개념으로 아이디 개방화가 진행되고 있다. 페이스북이 서비스하고 있는'페이스북 커넥터'와 같은 개념에서다. 페이스북 커넥터는 이용자들이 페이스북 아이디로 페이스북과 연계한 사이트들을 이용하고, 연동된 서비스도 페이스북 기능 내에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SK컴즈는 1일부터 페이스북 커넥터와 유사한 개념인 '네이트 커넥터'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는 외부사이트의 원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싸이월드 일촌 정보, 새 댓글 등을 네이트온 메신저 팝업을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는 서비스다. 물론 로그인은 네이트나 네이트온에서 한 번만 하면 된다.
네이트를 거쳐 다른 사이트에 들어가야 하지만 사실상의 오픈 아이디인 셈이다. 현재 제휴 사이트는 50여개로, SK컴즈는 연말까지 200여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네이버에서도 제한적이긴 하지만 변화 움직임이 있다. 네이버가 이달 말 지식쇼핑에서 서비스하기로 한'체크아웃'서비스는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하면 지식쇼핑에서 중소 쇼핑몰에 로그인할 필요 없이 결제가 가능하다.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오픈 아이디가 대다수 인터넷업계에서 대중화되는 분위기"라며 "거대 포털이 참여하는 게 관건이지만 국내에서도 이 같은 바람이 불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수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