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게, 처음부터 현금으로 주지…"

입력 2009-07-03 10:34:26

경북도 '희망근로 상품권 되사기'로 행정력 낭비

희망근로 프로젝트 참가자들에게 지급된 상품권을 공무원들이 되사기 운동을 벌이고 있어 행정력을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상북도와 경북지역 시·군에 따르면 공무원들이 최근 '상품권 사주기' 운동을 벌여 1억1천750만원어치의 상품권을 구입했다. 희망근로 참가자의 절반이 넘는 60세 이상 노인들이 상품권을 3개월내에 소비하기 어려운데다 취급 가맹점 여부 확인도 힘들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5급 이상 간부 공무원 440명이 상품권 1천550만원어치를 구입했다. 예천군은 2일 희망근로 참가자들에게 지급할 6천800만원어치의 상품권을 팔아주기 위해 임시 판매창구를 마련하고, 군청 5급 이상 간부 공무원 37명이 200만원어치의 상품권을 구입했다.

또 6급 이하 공무원도 협의를 통해 단계적으로 상품권 구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 여성단체와 지역 기관·단체들을 대상으로 희망근로 상품권 사주기 운동 동참을 호소할 예정이다.

성주군의 경우 기업체 4곳이 1억원어치의 상품권을 구입했다. 또 상주시는 전 공무원이 참여해 4천만~8천만원어치의 상품권을 구입할 예정이고, 구미시도 공무원이 자율적으로 상품권을 사줄 계획이다. 이밖에 포항·경주·영천·영주·군위·의성도 상품권 사주기 운동을 벌일 예정이다.

지자체 공무원들이 사용기간에 제한을 둔 희망근로 상품권 사주기 운동에 나선 것은 희망근로 참여자 상당수가 60세 이상 노인들이기 때문이다. 경북지역의 경우 희망근로 참가자 1만3천764명 가운데 60세 이상 노인이 55%를 차지하고 있다.

희망근로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월 평균 지급되는 25만원어치의 상품권을 3개월 이내에 사용하기 힘든데다 상품권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도 경북지역에서 1만5천여 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희망근로 참여자들은 "현금으로 지급하면 편한데 상품권을 나눠준 뒤 공무원들이 되사게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경북도와 시·군 관계자들은 "상품권 사용용도가 주유소나 대형음식점에 집중되지 않고 골목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있다"며 이해를 구했다.

예천·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