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가와 국민에 이로운 게 중도다

입력 2009-06-27 07:00:00

이명박 대통령이 '중도 강화론'을 언급한 이후 연일 '親(친)서민' 행보를 보이고 있다. 청와대 설명을 들어보면 좌우 어느 쪽에도 편향 않는 중도 실용주의가 본모습인데 국민에게는 보수우파에 기울어진 대통령으로 비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도를 표방하며 서민에 다가가는 이미지 변신에 나섰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의 돌연한 '친서민' 행보는 심상찮게 돌아가는 민심에 대한 위기감에서일 것이다. 청와대 자체조사에서 확인하듯 '부자를 위한 정권'이라는 인식이 광범한 게 지금의 민심이다. 출범 이후 나름대로 서민 대책에 힘썼다는 청와대로서는 억울한 생각이 들 것이다. 야당의 부당한 공격으로 부자 정권 이미지가 덧씌워졌다고 해명하고 싶을 것이다. 그런 측면이 없지 않다고 본다. 좌파적 시각에서는 시종 종부세'양도세 인하 같은 감세 추진을 부자 정책이라고 몰아세우고 있으니 말이다.

그렇지만 70% 가까운 국민이 부자 정권이라고 보는 데는 적잖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엊그제부터 대통령이 나서 사교육 대책, 국립대 지역 할당 확대, 서민계층 중시 경제 운용 같은 데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부와 한나라당도 무보증 소액 신용대출 확대, 서민층 세금 혜택 같은 정책을 세운다고 부산스럽다. 이처럼 새삼스레 '서민 정책'을 쏟아내고 있는 사실 자체가 서민계층에 소홀했다는 자기고백인 것이다. 그간의 세금, 부동산 정책뿐 아니라 정권을 구성하고 있는 인사 면면이 국민에게 어떤 이미지로 비치고 있는지도 돌아볼 일이다.

각 분야에서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게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소득'교육'복지'문화'국민생활 곳곳에서 깊어진 양극화는 경제위기가 가져온 소득 감소, 빈곤 증가로 인해 더욱 극명해지고 있다. 서민을 향한 따뜻한 시선은 대통령의 이미지 변신을 떠나 사회 통합을 위해서도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점에서 대통령이 서민과 사회적 약자에 새삼 관심을 갖는다는 사실은 다행스러운 것이고 지켜볼 일이다.

따라서 일회성 이벤트이거나 지지율 반전을 노린 인기 영합주의에서 나온 서민 행보가 아니어야 한다. 서민 행보가 국정 기조로 자리 잡고 정책적 실현으로 나타나야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대통령의 중도 강화는 '친서민'을 넘어서야 한다. 국가와 국민에 이로운 가치는 좌우를 떠나 유연하게 포섭하는 것이 중도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