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중도·親서민 발언 잇따라

입력 2009-06-25 09:31:44

이명박 대통령의 '중도 실용' 발언이 연일 쏟아지고 있다. 24일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대학의 지역·계층별 입학 할당에 대해 언급했다. 모두 친(親)서민 행보를 강화함으로써 대통령의 PI(President Identity·대통령 이미지)에 대한 변화를 유도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24일 제14차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업은 전체 종업원 수의 2% 범위에서 장애인을 의무 고용하게 돼 있지만 대부분 부담금을 내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다"며 "보다 적극적으로 장애인 고용에 앞장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앞서 전국 16개 시도교육청 교육감 오찬 간담회에서는 "서울대 등 국립대학도 성적 위주의 선발보다 지역과 계층별 할당을 높여 보다 다양한 계층의 학생들에게 기회가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또 "가난한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지 못해서 대학 진학에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이 멈춰져야 한다. 대학 당국과 시도 교육감들이 힘과 의지를 모아 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이 강도 높은 교육 개혁을 강조하고 나서면서 흐지부지됐던 사교육 경감책이 다시 힘을 받을지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이 대통령은 앞서 23일 국무회의에서는 "사교육을 없애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뭘 하느냐. 학원 로비의 힘이 센 모양"이라면서 "지금 사교육을 잡는다고 해도 우리 딸도 안 믿는다"고 비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사교육비 절반'이라는 대선 공약과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서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사교육 문제를 내버려뒀다가는 추락한 국정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힘든다는 정치적 판단과도 맞물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의 '진두지휘'에 따라 정부도 조만간 현행 대입 제도와 사교육에 대한 전면적 대책 마련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4월 미래기획위원회 곽승준 위원장과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이 추진했다가 좌초됐던 사교육 대책안이 다시 힘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