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사업 '남의 잔치' 되나

입력 2009-06-22 09:48:07

이달부터 턴키 발주에 들어간 낙동강 물길 정비 사업 수주를 두고 대구 건설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낙동강 사업예산이 9조7천억원에 이르지만 공구별 주간사는 역외 대형건설사들의 독무대가 되고 있는 데다 대구가 접한 낙동강 구역이 적어 지역 의무 하도급 공사에서도 '연고권'을 주장할 공구가 얼마되지 않고 있다.

대구 건설업계는 "이달 발주에 들어가는 낙동강 턴키 공사 9개 구간 중 대구 통과 구간은 3곳으로 이마저 경북과 접하고 있다"며 "지역 의무 하도급 공사에서도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는 업체들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이달 4대 강 정비 사업 동시 발주에 들어가지만 대형 건설사들은 공사 구간과 사업비가 많은 낙동강에 몰려들고 있으며 시공능력 20위내 업체들 간 치열한 공구별 주간사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업체들의 몫은 턴키에서는 20%, 일반 공사에서는 40% 이상 주어지는 지역 의무 하도급 공사 정도가 될 전망이다.

이달 발주되는 낙동강 9개 공구(공사 금액 2조6천300억원)를 시도계로 나누면 대구와 경북이 3개씩이며, 부산·경남이 3개 구간이다.

대구는 행정구역을 접한 공구가 일단 3개에 이르지만 건설사들의 '연고권' 주장이 애매하다.

부산국토관리청이 발주하는 22공구(달성군 구지면~달서구 파호동·4천51억원)와 수자원공사가 발주하는 23공구(딜서구 파호동~달성군 하빈면·3천164억원)는 낙동강 중심을 기점으로 서편은 대구, 동편은 경북이며 24공구(달성군 하빈면~칠곡군 석적면·3천951억원)는 대구와 경북이 섞여 있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경계를 접하고 있는 공구의 경우 시도 소재지별 건설사 참여가 모두 가능하면 상대적으로 대구 건설사 참여 공구가 줄어들게 된다"며 "22, 23공구는 대구업체 연고권이 보장될 것으로 보이지만 24공구는 상당히 애매한 구간"이라고 말했다.

대구업체들이 22와 23공구에서만 연고권이 주어지면 이달 낙동강 발주 공사 금액 2조6천억원 중 지역 의무 하도급 비율(20%)을 볼 때 수주가능 금액이 1천600억원으로 6%에 그치게 된다.

대구 건설사들은 "20년만에 대규모 공공 사업이 시작됐지만 전체 공사 금액 대비 지역 업체 수주 금액은 상대적으로 적다. 지자체 직발주 사업을 늘리거나 턴키 공사 지역 의무 하도급 비율을 늘리는 등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앞으로 7조원 이상의 추가 공사 발주가 남아있는 만큼 대구 소재 건설사로서는 대구와 경북을 하나의 수주 영역으로 묶는 방안 등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경북지역 건설사들은 낙동강 예산 중 60~70% 정도가 경북 지역에 투입되고 경북도 직발주 예산도 8천억에 이르고 있어 수주 기대에 들떠 있다.

경북은 포스코건설과 에이치에이치 건설이 1,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3위는 동신건설(전국 150위), 4위는 유성건설(162), 5위는 세영종합건설(164)위 등으로 전국 200위권내에 8개 업체가 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