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시 공무원들이 환골탈태하는 길

입력 2009-06-10 10:51:39

대구시 공무원들이 학연'혈연을 중시해 의사 결정 과정에 공정성이 떨어지고, 업자들과의 유착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을 받았다. 간부급 공무원들의 솔선수범 노력, 부패에 취약한 업무에 대한 제도 개선 노력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나왔다. 대구시 스스로 국민권익위원회에 맡긴 청렴 컨설팅 결과다.

개개인 비리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대구시 공무원들의 후진성은 누누이 지적돼 온 고질적 병폐다. 단적인 예로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의 공공기관 종합 청렴도 측정에서 대구시는 16개 광역시'도 중 최하위권인 15위에 머물렀다. 대구시 고위 간부를 지낸 어느 단체장은 "몸을 던져 일하는 공무원을 찾아볼 수 없다"고 개탄하고, 특정 공무원들이 노른자위 자리를 꿰차 'OO마피아'란 말이 대구시 안팎에 나도는 실정이다.

권익위 제안에 따라 대구시는 금품 수수 공무원을 수수 금액이나 지위 고하를 따지지 않고 업무에서 배제시키는 등의 대책을 수립, 추진키로 했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이 얼마나 실효를 거둘지에 대해 대구시 공무원들부터 의문을 나타내는 실정이다. 그동안 대구시 내부에서도 공공연하게 지적됐지만 좀처럼 개선되지 않은 문제들인데, 이번 대책으로 쉽게 고쳐지겠느냐는 것이다.

대구시 공무원의 환골탈태는 시스템 마련과 인사 쇄신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공금을 횡령하거나 직무와 관련해 100만 원 이상의 금품'향응을 수수한 공무원을 공직에서 퇴출시키는 서울시의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같은 강경책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김범일 시장을 비롯한 간부 공무원들이 앞장서 인맥 중시, 온정주의 풍토를 타파해야 한다. 컨설팅 결과에 대해 실천적 노력을 않는다면 대구시 공무원들의 혁신은 百年河淸(백년하청)일 뿐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