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盧 세력화 하나?…정치적 위상 크게 달라져

입력 2009-06-01 09:42:21

민주당이 친노(친 노무현계)와 거리 좁히기에 나섰다. 18대 총선에서 '낙선 보증수표'였던 친노가 서거 정국으로 정치적 위상이 크게 달라졌기 때문이다.

정세균 대표는 31일 기자회견에서 "모두가 하나 돼서 (노무현 전 대통령) 계승 작업과 추모 사업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궁지에 몰린 정권이 직전 대통령을 제물로 삼았다"며 친노와 거리를 두려 했던 과거 자세를 바꿨다.

민주당은 조만간 노 전 대통령과 참여정부의 공과에 대한 체계적인 재조명 작업에 나서기로 하고 태스크포스팀을 꾸리기로 했다. 당의 새로운 이념 좌표를 제시하는 '뉴민주당 플랜' 발표를 미루더라도 지역주의 타파와 균형발전 등 노 전 대통령이 남긴 미완의 과제를 당 이념에 반영할 뜻도 시사했다.

민주당의 이런 변화는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급변하는 민심을 반영한 것이다. 한 여론조사에서 민주당은 거의 5년 만에 한나라당을 제치고 정당 선호도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이 친노와 거리를 가깝게 하자 친노의 정치 활동 재개도 점쳐지고 있다. 친노 직계인 이화영 전 의원은 최근 "그동안 쉬쉬하면서 알리지 못했던 친노가 당한 고통을 폭로할 것"이라며 정치 전면에 나설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친노 그룹 핵심인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김두관 전 행자부장관 등이 10월 재보선을 통해 등원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국회 입성 대상자로 윤덕홍 민주당 최고위원도 포함된다.

하지만 친노 측 다수는 노 전 대통령 서거 충격에서 한동안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여 정계 복귀 기지개도 그만큼 늦어질 것이란 게 일반적 관측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