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남대 재단 정상화는 지역적 관심사다

입력 2009-05-26 10:45:16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28일 전체회의를 열어 영남학원 정상화추진위원회가 제출한 신임 이사진 승인 여부 등을 결정한다. 이는 영남대 재단인 영남학원이 1989년 재단 비리로 임시이사 체제가 된 뒤 20년 만에 정상화 길에 들어서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일정에 맞춰 영남대 총동창회는 정상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영남학원은 1988년 사학재단으로서는 처음으로 국회 국정감사를 받았다. 이때 부정입학, 회계부정 등 비리가 드러나 이사들이 모두 물러나고 89년 초 임시이사가 파견됐다. 영남학원은 2006년 4월 정부가 임시이사 해제 사학으로 분류하면서 정상화 물꼬를 텄다.

정상화추진위는 교수, 교직원, 동창회 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가 구재단의 복귀를 원해 정상화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영남대 총학생회, 민주동문회, 비정규직교수노조 등으로 구성된 반대투쟁위원회는 비리로 임시이사 파견의 빌미가 됐던 舊(구)재단 인사의 복귀를 반대하고 있다.

그동안 영남대는 국내에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임시이사가 학교를 운영했다. 임시이사 파견체제로 모든 학사 업무가 통제를 받아 교수 채용, 학과 신설, 재단의 투자 등 학교 발전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영남대가 대외 경쟁력을 잃고, 아시아권 대학 순위에서 200위 권 밖으로 밀려난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정상화추진위든, 반대투쟁위든 모두 영남대 구성원들이다. 학교를 살리자는 데 대화를 못할 이유가 없다. 많은 지역민들도 정상화를 바라고 있다. 이 지역의 사학 부흥을 바라는 염원에 부응하는 노력이 있어야겠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