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급 광전자소자 개발 근거 제시

입력 2009-05-26 10:46:08

포스텍 조문호·하버드대 박홍근 교수

포스텍 조문호(신소재공학과) 교수와 미국 하버드대 박홍근(화학·물리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광소자 개발의 난제로 여겨져 온 '광전자소자의 나노급 크기의 구현'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성과를 세계적 과학저널인 '네이처 피직스' 2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광소자(光素子)는 전자소자에 비해 응답처리 속도가 빠른 반면 크기를 나노미터 수준으로 집적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다.

연구팀은 반도체 나노와이어 트랜지스터를 통해 표면 플라스몬의 광신호를 근접장 영역에서 전기적 신호로 고효율 변환이 가능한 소자를 구현했다.

포스텍은 이 연구성과가 나노 집적 광전자소자, 양자 컴퓨터 등 미래형 소자 기술 개발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 올 것으로 평가했다.

조문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소형화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던 광소자를 나노미터급으로 개발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