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자원 외교 지평 넓혀…'新아시아 구상'도 지지 얻어

입력 2009-05-15 09:03:29

이명박 대통령은 14일 오후 4박 5일간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순방을 마치고 대한항공 특별기편으로 귀국했다.

이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국가를 방문한 것은 취임 후 처음으로, 양국 관계를 한 단계 끌어올리고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확대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또 올 초 천명한 '신(新)아시아 구상' 실천을 통한 대(對)아시아 외교 지평을 넓힌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로써 이 대통령의 자원 외교는 지구를 한 바퀴 돌았다. 지난해 러시아를 시작으로 남미-오세아니아-인도네시아-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환(環)벨트'가 완성된 것. 여기다 내년으로 예정된 아프리카 순방까지 더해지면 에너지·자원 개발률을 높이기 위한 '4대 자원 개발 전략지역'을 모두 찾게 된다. 이명박 정부는 지난해 4.2% 수준이었던 석유·가스 자주 개발률을 2012년까지 18%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번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과의 여러 에너지·자원 개발 협정 체결도 같은 맥락이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자원 외교의 원칙은 우리 기술과 결합했을 때 시너지 효과, 상호 윈-윈 가능성 등 크게 두 가지"라며 "정상회담 전에 수행 기업인 조찬 모임을 갖고 애로 사항을 적극 수렴, 반영하는 방식도 성과를 높인 계기"라고 설명했다.

아시아권 역내(域內)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신아시아 구상'에 대한 양국의 지지를 이끌어낸 것도 적지 않은 성과다. 우즈베키스탄 카리모프 대통령은 "시의적절한 맞춤형 정책"이라고 평가했고 카자흐스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은 6자회담을 통한 북핵 사태 해결이라는 우리 정부의 대북 정책과 함께 신아시아 구상을 지지했다.

하지만 실질 성과를 거두기 위한 사후 노력이 요구된다. 이번 순방에서 26건의 각종 에너지·자원 분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지만 MOU는 법적 구속력이 없는 만큼 언제든 백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