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홍시가 (早紅枾歌)
박인로
반중(盤中)조홍(早紅)감이 고아도 보이나다
유자(柚子) 아니라도 품음 즉 하다마는
품어가 반길 이 없을 새 글로 설워하나이다.
어버이 받드는 일이 날 받고 달 받아 하는 것이 아니지만, 5월은 사랑 중에서도 으뜸인 사랑, 어버이의 사랑을 떠올리게 한다. 어제는 어버이날이기도 했다. 옛시조에 '효'를 노래한 작품이 많은데 그 중에서 회자되는 것이 '조홍시가'이다. 노계 박인로(蘆溪 朴仁老·1561~1642)의 작품으로 영천 북안면 도천리에 시조비(時調碑)가 서 있다.
이 시조는 '육적회귤(陸績懷橘)의 고사가 바탕이 되고 있다. 옛날 중국 오(吳)나라의 육적이, 여섯 살 적에 원술(袁述)의 집에서 접대로 내놓은 유자 세 개를 품안에 숨겼다가 발각되었다. 그 까닭을 물으니 어머니에게 가져다 드리고 싶어 그랬노라고 대답, 그 지극한 효성에 모두가 감동했다는 이야기다.
이 시조를 풀어보면 '소반에 담긴 일찍 익은 붉은 감이 곱게도 보이는구나/ 유자가 아니라도 품안에 몇 개 집어넣고 싶지만/ 품어 가져간다 해도 반가워할 어머니가 없으므로 그것 때문에 슬퍼합니다'란 뜻. 중장의 '유자 아니라도' 가 고사와 관련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 시조는 노계가 한음(漢陰)이 접대로 내놓은 감을 보고 '육적회귤'의 고사에 비추어 돌아가신 어머니를 생각하며 지은 시조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것은 잘못 알려진 것. 여헌 장현광(旅軒 張顯光)이 성리학을 배우러 온 노계에게 조홍감을 대접하며 그것을 소재로 하여 시조를 짓도록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김석배, 경오본 '노계가집'에 대하여).
한음이 짓게 한 것으로 잘못 알려진 것은 한음이 '조홍시가'를 보고, 노계에게 단가 3장을 더 짓도록 한데서 연유한다. 노계의 '조홍시가'는 4수인데 첫째 수와 2~4수는 그 창작 시기가 다르다. 첫 수는 여헌이 짓게 했고, 나머지 세 수는 여헌이 짓게 한 첫 수를 보고, 한음이 노계에게 3수를 더 짓게 한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조홍시가' 첫 수는 이렇게 창작되자마자 화제를 모았다. 둘째 수는 효자들의 고사를 인용, 효도하겠다는 심정을, 셋째 수는 나이 드신 부모님이 더디 늙으시기를 바라는 심정, 끝수는 현인군자들과 교유하고 있는 유자로서의 자긍심을 담고 있다. 첫 수만 많이 알려져 있는데, 효를 실천하려는 선비의 다짐이 오늘날 많은 불효자의 얼굴을 붉히게 한다. 문무학 (시조시인·경일대 초빙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