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경북 교육특구 지정에 총력 기울이자

입력 2009-03-27 11:11:00

한나라당 서상기 의원 등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은 지난해 국회에 상정됐다가 폐기된 교육특구 법안을 재상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추진 속도로 보아 '교육국제화특구의 지정'운영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안(교육특구 법안)'이 4월 임시국회에서 발의될 것 같다.

이 법안은 한마디로 규제를 풀고, 지원을 강화해 세계와 경쟁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 교육환경을 만들자는 것이다. 법이 통과돼 특구로 지정되면 정부로부터 10년간 약 2조 원의 지원을 받게 된다. 또 외국의 유명 대학 분교나 국제학교 설립이 가능해지는 등 지역의 교육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

대구경북은 지난해 첫 발의 때부터 특구지정을 위해 노력해 왔다. 대구시, 경북도, 대학, 시'도 교육청과 대구경북연구원, 지역혁신협의회 등 관계기관은 지난해 워크숍과 포럼, 특구 모델 사업발굴 등을 통해 노하우를 쌓았다. 법안 통과 여부도 상당히 긍정적이다. 이명박 정부의 교육기조와 일치하는 데다 지난해 법안 발의를 주도했던 이주호 한나라당 의원이 현재 교육과학기술부 1차관이어서 행정부 쪽과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제 남은 것은 보다 철저한 준비와 교육특구 지정을 위한 여론 형성이다. 경쟁 예상 시'도에 비해 우위에 서려면 이미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업모델을 더 많이 개발해야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전담부서를 만들고, 관계기관과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해야한다. 관계기관들도 기관 이기주의를 버리고 '지역발전'이라는 한 목표로 매진해야 한다. 이와 함께 시'도민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 공감대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여론의 지지는 곧 정책 성공의 강력한 힘으로 작용한다.

총성이 울리고 난 뒤 출발하면 늦다. 지역발전에 큰 도움이 될 교육특구 지정에 총력전을 펴야할 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