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은 교육국제화특구로…사업모델 개발키로

입력 2009-03-25 09:56:58

"대구경북에 미국 하버드대와 같은 세계적인 명문대 분교를 유치하고, 글로벌인재 양성을 위한 터전을 만들자."

'교육도시'의 명성을 지닌 대구경북을 지식경제시대를 이끌어 갈 '교육국제화특구'로 만들려는 운동이 다시 불붙고 있다.

지난해 국회에 상정됐다 폐기됐던 '교육국제화특구의 지정·운영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안'(이하 교육특구 법안)이 4월 임시국회에서 다시 발의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25일 한나라당 서상기 의원 등 지역 출신 의원들은 지난해 1월 당시 지역 출신 이주호 전 의원(현 교육과학기술부 1차관)이 대표 발의했던 교육특구 법안을 수정, 보완해 발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 의원은 "무한경쟁시대에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혁신적인 교육국제도시를 만들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교육특구 특별법'이 절실하다"며 "최근 지난해 발의에 참여했던 의원들을 중심으로 법안 발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특구 특별법안은 투자 유치 및 사업 활성화를 통한 교육분야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규제는 풀고, 지원은 강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법안에는 ▷교육국제화 인프라 구축 ▷대학의 국제경쟁력 강화 ▷외국대학 및 학교의 설립·운영 ▷초·중등학교 영어교육 강화 등이 포함돼 있다. 한 의원은 "청와대, 교육과학기술부가 교육국제화특구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법안 재발의를 계기로 교육특구 유치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 지역혁신협의회, 대학 관계자 등은 조만간 대구경북 대학 컨소시엄을 구성, 교육특구에 필요한 대학의 역할과 사업 모델을 연구개발할 계획이다. 관계자들은 시·도, 대학, 시·도교육청, 대구경북연구원, 지역혁신협의회 등은 교육특구 유치를 위한 워크숍과 포럼 개최, 특구 모델 사업 발굴 등을 꾸준히 해왔기 때문에 법안이 통과될 경우 언제든지 유치전에 뛰어들 수 있다고 했다.

대구경북연구원 김혜진 박사는 "지역의 관련 기관들이 꾸준한 논의를 거쳐 국제교류센터와 사이버교육국제화특구 등 교육특구 지정에 유리한 다양한 사업모델을 만들어왔다"며 "조만간 구상에 머물던 여러 사업들이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 문화체육과 김선태 교육협력 담당은 "지난해 초 제출한 법안이 1년 만에 자동 폐기되면서 특구 관련 계획이 주춤했지만, 법안이 다시 발의되면 지금껏 관계기관 간에 협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