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실업자 급증 지역에는 '맞춤형 대책' 나와야

입력 2009-03-20 11:06:45

지난달 대구경북 실업자는 10만5천 명으로 작년 2월보다 3만7천 명이나 늘어났다. 이 기간 실업자 증가율은 대구가 60.1%, 경북이 49.7%다. 전국 평균(13%)보다 몇 배 높다. 1년 사이 일자리를 잃은 전국 실업자 10만6천 명 가운데 이 지역이 35%를 차지했다. 대구 실업률은 5.1%로 전국 최고다.

전국에서 대구경북이 유달리 '실업 쓰나미'에 휩쓸린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대구경북 주력산업인 주택건설업 침체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급증한 때문이다. 연간 주택공급이 10만 가구 감소하면 37만여 명이 일자리를 잃고, 주택건설 고용유발효과가 반도체 등에 비해 2~3배나 높을 정도로 주택건설업은 고용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지역엔 영세업체가 많은 탓에 경기 침체로 경쟁력이 취약한 이들 업체가 줄줄이 문을 닫으면서 실업자가 속출한 것이다.

정부가 추경예산 4조9천억 원을 투입, 일자리 55만 개를 만들어 내겠다고 발표했다. 단기 임시직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라는 비판도 나오지만 정부가 고강도 고용대책을 내놨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이다. '실업자 100만 시대'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것은 마땅하다.

이 같은 대책도 좋지만 실업자가 급증하는 대구경북 같은 지역을 위한 '맞춤형 실업 대책'도 정부가 내놔야 한다. 4대 강 살리기를 위해 2011년까지 13조9천억 원을 투자할 경우 18만9천여 명의 일자리가 생긴다고 한다. 올해 SOC 예산 24조6천억 원이 투자되면 31만5천 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란 주장도 있다. 정부는 주택건설시장 활성화, 4대 강 살리기와 같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정책들을 확실하게 추진하고, 실업 쓰나미가 극심한 지역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