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해외여행 안전조치에 바짝 신경쓸 때다

입력 2009-03-19 10:47:52

한국인 관광객 4명이 목숨을 잃은 예멘 폭탄테러에 이어 사건 수습을 위해 현지에 간 정부 대응팀과 유가족을 태운 차량까지 18일 자살 폭탄테러로 보이는 공격을 받았다. 다행히 별다른 피해는 없다지만 참사 사흘 만에 재차 공격받았다는 점에서 불안해 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인을 노린 테러의 성격이 농후하다는 것은 테러 위험에 대한 우리의 안이한 인식에 다시 한번 경각심을 일깨우는 사태이다.

해외에서 발생하는 테러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하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다. 하지만 2004년 이후 아프간, 이라크, 나이지리아 등지에서 빈번하게 발생한 한국인 대상 테러에서 보듯 위험회피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경계수위에 도달했다. 현재 정부는 여행 유의(42개국)'여행 자제(34개국)'여행 제한(18개국)'여행 금지(3개국) 등 나름의 여행 경보체계를 갖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해외안전여행 대국민 홍보에도 힘쓰고 있다. 문제는 이런 체계와 노력이 테러를 예방하고 위험을 낮추는 데 거의 실효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이번 예멘 사태도 여행객들이 사전에 당국으로부터 위험 정보를 전달받거나 위험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한다. 또한 정부가 적극적으로 특정 국가나 지역에 대해 여행금지 조치를 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위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의심 없이 여행한다는 것은 안전의식에도 문제가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관광진흥법' 개정안 통과를 서둘러야 한다. 여행사가 여행객에게 방문국의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무화해야 한다. 또 일본 NHK의 예처럼 공영방송을 통해 매일 해외안전에 대해 홍보하고 관련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이런 상시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국민의 테러 인식도 높아지고 불상사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