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특정지역을 염두에 두고 첨단의료복합단지(이하 첨복단지)를 신약(의약품)과 의료기기 부문으로 분산배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지역출신 주요 인사들과 대구시·경북도는 아예 무관심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처, 첨복단지 대구경북 유치가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전국 9개 권역이 사활을 걸 정도로 첨복단지 유치경쟁이 과열 양상을 빚자 신약개발과 의료기기 부문을 분리하는 방안을 청와대에 보고, 추진중이다. 이렇게 될 경우 의료계 및 관련 전문가들은 신약개발은 충청권(대전·오송), 의료기기 분야는 강원 원주권으로 낙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보건복지관련 정부산하의 한 기관장은 "첨단의료복합단지 구상이 당초 특정 지역을 염두에 두고 비롯됐고 이들 지역이 10여년간 신약개발과 의료기기 분야에서 연구기관과 기업이 집적되면서 이 분야의 메카로 이미지화됐지만 실상은 다르다. 첨단의료복합단지가 두 분야로 분산·배치될 경우 두 지역이 유력하다는 것이 정설"이라고 우려했다.
이런데도 첨복단지 입지선정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지역출신 인사들은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
국회 예결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한구 한나라당 의원(대구 수성갑)은 17일 "지역출신 주요 인사들이 첨복단지 대구 유치에 힘을 쏟기보다는 중립적이거나 오히려 정부 측의 입장에 동조하고 있다"며 각성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첨복단지가 대구시민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사업인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지난 정부의 논리를 따라가고 있다"면서 "지난 정부가 수천억씩 투자를 하면서 정치적 특혜를 받은 지역을 정권이 바뀌었는데도 기왕 투자됐으니 지원하자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보건의료계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이 첨복단지를 유치하기 위해선 특별법상 명시돼 있는 집적형 입지선정이 되도록 정부 관련부처를 압박하고, 정치권과의 공조를 통한 역할분담과 지역 여론 결집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분산배치시 핵심기능을 지역으로 가져오기 위한 마스터플랜 마련도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실제로 충청권의 경우 R&D와 시제품개발 등 핵심기능은 유치하되 임상단계나 양산단계는 다른 지역과의 연계를 염두에 둔 유치계획까지 마련해두고 있고 광주·전남권도 대통령을 직접 만나 자기 지역 유치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산업계 한 전문가는 "제조업 분야 대기업의 지역 유치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고 의료산업은 지식창조형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성공과도 직결된다. 하지만 경북도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에 아예 관심이 없는 것 같고, 대구시도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며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청와대와 중립지역 심사위원들에게 첨단의료복합단지의 분산배치 부당성을 설득하고 자료도 보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명수·이춘수·박상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