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지방선거 정당 공천 폐지를 위한 국민운동 전국본부'가 이번 주 발족됐다. 시'군'구 선거에서의 정당 공천제 폐지 실현이 목표다.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전국시군구의회의장협의회 등이 동참했으니 당사자들은 모두 손을 맞잡은 형세다. 지방분권국민운동본부를 위시한 여러 시민단체들도 참여해 그 못잖은 염원을 결집시키고 있다.
이 제도를 둘러싸고는 안 그래도 진작부터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갖가지 공천 비리와 정치 부패가 거기서 비롯된다는 지적이 많다. 풀뿌리 민주주의가 그로써 무너진다는 비판도 따갑다. 시'군'구 주민을 돌보고 책임져야 할 사람들이 그보다는 소속 정당이나 지역 국회의원의 이익 대변자로 전락하게 될 위험성이 높다는 것이다. 생명줄 같은 공천권을 그쪽에서 쥐고 있다 보니 지역 살림꾼이 아니라 공천권자의 수하 행동원으로 예속될 여지가 많다는 얘기다. 3년 전 이 제도 도입 때 함께 이뤄진 기초의원 유급화가 이를 노린 정치권의 술수 아니겠느냐는 의심이 제기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공천제 폐지본부는 오는 6월 임시국회에서 선거법 개정을 이뤄내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그 성사를 위해 1천만 명 서명운동을 시작했고, 각계 인사 2천10명이 참여하는 폐지 요구 전국선언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전국을 돌며 토론회를 여는 것과 함께 지역별 기초 단체장 및 의원들이 나서는 공천 반대 결의행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국회의원들이 이 요구를 수용토록 압박하기 위해 각자에게 공천제 폐지 찬반 공개질의서를 보내, 반대 의원들에 대해서는 총선 때 낙선운동을 벌일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이 운동이 지금 불붙는 것은 다음 지방선거가 벌써 일 년 뒤로 닥쳤기 때문이다. 공천의 폐해가 한 번의 선거로 다 드러난 만큼 두 번 다시 당하게 방치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제도 존폐 결정권을 쥔 정치권 각 정당 및 국회의원들이 이런 염원을 수렴하려 들 것인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전망이 만만찮다. 이미 자신들에게 기득권이 돼 버린 것을 쉽게 내놓으려 하겠느냐는 것이다.
그래서는 안 된다. 기초선거 공천제의 해악은 너무도 명백해져 어떤 궤변으로도 호도될 수 없다는 게 현 단계에서의 대체적 시각이다. 미국의 80% 지역이 공천제를 배제하고 동남아에서는 기초 후보의 정당 가입마저 금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도 정당과 국회의원들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