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살, 두살의 아이를 두고 있는 '직장 맘'이다. 얼마 전 신문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출산율 저하로 인해고충을 겪고 있다는 내용을 읽게 되었다. 아기를 낳아달라고 호소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출산율을 높이는 방법을 외부에서 찾으려는 모습에 답답하고 안타까울 뿐이었다.
왜 여자들이 아이를 낳지 않으려고 하는지 원인부터 파악해야 한다. 난 아이들이 아직 어려서인지 초·중·고생들의 사교육비에 대해서 아직은 민감하지 않지만, 조만간 그런 날이 올 것이라는 생각에 자식을 키우는 즐거움보다는 돈에 대한 부담감이 더 크다.
나는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는 소란으로 매일 아침을 시작한다. 회사 근처에는 보육 시설이 없어서 집 근처 보육 시설에 맡기는데 비용이 한달에 70만원이 넘는다. 개인적인 사교육비는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보육비는 국가에서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공립 형태의 보육 시설을 확충하고, 주부들을 모집해서 일정 기간 연수를 시켜 보육 교사로 투입하면 일자리 창출도 될 것이다. 퇴근 시간에 쫓겨 불안하게 아이를 찾아야하는 엄마들도 마음 놓고 직장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를 낳기 전까지의 지원책이나 출산 축하금만으로 출산 장려를 다하고 있다고 여자들을 안심시키려 하면 안 된다. 출산의 고통은 그 이후가 더 문제다. 차라리 그 돈 없애고 보육 시설에 투자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국가에서는 이미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주장할지 모른다. 그러나 엄마인 내가 실감할 수 있는 혜택은 전혀 없다.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또 어린이집을 구하고, 비싼 보육료를 지불해야 하는 스트레스는 왜 자식을 2명이나 낳았을까 하는 원망으로 돌아온다.
회사마다 아파트마다 마을마다 마음 놓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저렴하고 질 좋은 공립 보육 시설을 만들어주면 좋겠다. 이미 여성들의 사회 진출은 막을 수 없는 현실이다. 이것은 조언이 아니라 두 아이를 키워야 하는 '직장 맘'의 절규이다.
김영희(인터넷 투고)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