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에서 지난해 10월 전국 최초로 개통한 U-헬스서비스(IT 융합기술 기반 U-생활지원 서비스)가 올해 대형병원 환자에까지 확산되고 해외로도 진출한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식경제부, 대구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대구테크노파크(TP)가 공동으로 4년간 178억원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는 U-헬스서비스는 지난해 200명을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한 데 이어 2차연도인 올해는 노인이나 만성질환자 700여명을 비롯해 대형병원에 입원했거나 관리하고 있는 만성질환자에게도 확대적용한다는 것.
특히 뉴질랜드가 대구시의 U-헬스 프로젝트에 큰 관심을 보여 U-헬스 관련 기술 및 시스템의 해외 진출 가능성도 열었다.
대구시와 대구TP는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 뉴질랜드 최대 규모의 노인요양 및 병원단체인 Selwyn Care Foundation, 정부산하 헬스분야 혁신연구소(NIHI) 등과 현지에서 U-헬스 관련 공동연구 및 공동마케팅을 하기로 합의했다. 또 양측이 특정분야에서 강점을 가진 분야에서 서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테스트베드(Test Bed)도 공유하기로 했다.
대구에서 최초로 서비스하고 있는 U-헬스는 운동·비만 종합관리, 골밀도 측정을 할 수 있는 입는 생체정보측정기기나 약복용 도우미, 낙상관리(낙상 휴대폰), 집단 식중독 예방,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서비스는 물론 맞춤형 운동처방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건강·운동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산업. 이 분야에서는 대구가 어느 지역보다 앞서가고 있다.
또 대구는 실시간 원격처리가 가능한 입는 생체정보측정기기인 'U-헬스 웨어'를 국내 최초로 개발, 지난해부터 시범 서비스에 나서면서 U-헬스의 테스트베드가 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대구시의 U-헬스서비스가 정착되면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으로 있다.
대구시 박학정 U-헬스 담당은 "대구가 U-헬스서비스 사업에 가장 먼저 눈을 뜨면서 전국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정부의 선도산업으로 IT융복합이 확정돼 있기 때문에 이의 가장 큰 분야 중 하나인 U-헬스서비스는 향후 큰 발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 U(Ubiquitous)-헬스서비스란?=유·무선통신 및 IT기술을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와 결합, 언제 어디서나 건강 상태를 체크해 관리해 주는 미래형 의료서비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