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기원'은 어떤 기관?…산기평·유사기관 통폐합 신설

입력 2009-02-20 09:39:00

정부의 공공기관 통폐합 방침에 따라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이하 산기평)의 후속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하 산기원)이 대구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산기원의 성격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기원은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한 산업기술촉진법에 따라 신설되는 기관으로 정부가 주도하는 산업기술 혁신 사업의 과제를 기획하고 관리, 평가하는 기관이다. 산기평과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한국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의 기획, 평가, 관리 분야를 통폐합해 만들고 있다.

동시에 산기평의 기능도 일부 조정돼 산기원으로 재탄생된다. 산기평은 ▷국가 연구개발 지원 사업 기술기획 ▷연구개발 자금을 기업, 대학, 연구소 등에 지원 ▷산학연 기술개발활동 지원을 위한 기반조성 ▷지역산업기술 육성 지원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이 가운데 기반 조성 사업과 지역산업기술 육성 사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으로 이관될 방침이다.

대신 정보통신연구진흥원과 한국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의 일부 기능이 합쳐져 결과적으로는 전신 기관인 산기평보다 규모와 예산이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기원이 대구로 이전될 경우 대구경북 지역의 정보 통신 기술과 에너지 관련 기술의 육성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산기원의 규모와 인력, 예산 등이 확정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역 정치권과 대구시는 산기평이 당초 대구 이전이 확정됐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산기원 또한 대구 이전이 불가피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지역 의원들도 "산기원은 산기평의 후속 기관이기 때문에 반드시 대구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회 지식경제위 김태환(구미을) 한나라당 의원은 "당연히 대구로 이전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대구 혁신도시가 지역구인 유승민(대구 동을) 의원은 "산기원의 대구 이전은 지경부가 키를 쥐고 있다"며 "대구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이 힘을 합쳐 지경부를 끝까지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999년 설립된 산기평은 연예산 2조원 규모로 160여명의 직원으로 구성됐고, 정부가 지원하는 연구개발(R&D) 사업의 성과 조사와 평가,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