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택 "북한 강경 태도는 일회성 전술"

입력 2009-02-17 09:10:49

이기택(사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최근 서해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 등 북한의 대남 강경태도와 관련, "경제난, 국제적 고립, 안보 불안 속에서 총체적 위기에 직면한 북한이 내부의 극심한 동요를 잠재우기 위해 극한적인 대치국면으로 유도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부의장은 17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대북정책과 민주평통의 시대적 역할'을 주제로 한 특강에 앞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최근 북한의 대남 강경 태도는 북한 내부 문제를 무마하기 위한 일회성 전술"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이 "올해 새로 출범한 미국의 오바마 행정부와의 핵협상을 유리하게 끌거나 남남 갈등을 유발, 우리 정부가 평양 정권의 말을 고분고분 듣게 만들기 위한 의도라고 보여진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 같은 북한의 '벼랑 끝 전술'에도 불구, 우리 정부는 대화와 협력의 자세로 일관성 있는 대북 정책을 견지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이 대화나 교류의 장으로 나오는 것은 우리 정부의 노력보다는 자신들의 필요성이나 주변정세의 변화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며 "대남 강경 태도를 보인다고 해서 대화 재개에 조바심을 낼 것이 아니라 원칙을 견지하고 정부의 의지를 확실하게 보여주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그는 "다행히 우리 정부는 현재까지 북한의 이러한 위협에 흔들리지 않고 현명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부의장은 또 남북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는 것이 현 정부의 대북정책 때문이라는 일부 시각에 대해 "근거 없는 트집에 불과하다"며 "현정부 대북 정책의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생과 공영'정책이고 손발에 해당하는 부분이 '비핵개방 3000'이다"며 "이는 북한의 경제 도약을 도와 한민족 경제공동체를 실현함으로써 남북이 공영하고자 하는 실용적인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상생·공영 정책이 "이전처럼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당당하게 서로 도와 함께 발전하자는 것"이라며 일방적인 퍼주기식으로 일관했던 이전 정부의 햇볕정책과 선을 그었다.

이 부의장은 탈북자에 대해 관심을 표시했다. 그는 "현재 한국 사회에 정착한 탈북자 수가 1만5천명이 넘고 있고 우리 국민들이 점차 부담으로 느끼는 분위기가 생기기 시작했다"며 "탈북자는 우리가 끌어안아야 할 소중한 형제이고 통일이 되면 북한을 재건하는 데 앞장설 사람들인 만큼 평통 차원에서 구체적인 지원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