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 강현주(36)씨네 4가족은 독감 홍역을 단단히 치르고 있다. 보름 전 세 살배기 아들이 밤새 열에 시달려 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독감 진단을 받은 이후 온 가족이 같은 증세에 시달리고 있다. 강씨는 "처음엔 단순한 감기라 생각했는데 해열제를 먹어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목까지 너무 부어 물만 마시고 있는 지경"며 "독감이 이렇게 무서운 줄 미처 몰랐다"고 한숨지었다.
독감 대란이다. 요즘 병'의원에는 한 번 시작된 기침이 멈추질 않거나 고열에 시달리다 몸살을 앓는 독감 환자들이 너도나도 몰리는 진풍경이 벌어진다. 병'의원마다 독감 환자가 급증해 일손이 달릴 뿐 아니라 일부 약재는 공급이 달리는 품귀현상까지 나타나는 실정이다.
이 같은 독감 대란은 단기간 내에 가라앉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독감의 원인을 제공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12월 말부터 1월 초까지 유행하다 2월 말~4월 두 번째 절정기를 맞기 때문이다. 올겨울 독감 대란은 왜 벌어졌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독감 비상
올겨울 독감 대란은 질병관리본부가 독감유행주의보를 처음 발령한 지난해 말부터 시작됐다. 질병관리본부가 외래환자 1천명당 인플루엔자 의심환자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7~13일 처음으로 독감 유행 판단 기준인 2.60명을 넘어선 것. 이후 12월 14~20일 8.40명, 12월 21~27일 15.39명 순으로 급증세를 나타내다 지난해 12월 28일~올 1월 3일은 무려 17.63명을 기록해 질병관리본부가 2000년 표본감시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았다.
다행히 1월 4~10일은 11.96명으로 전 주보다 감소했지만 유행 판단 기준을 훨씬 초과하기는 마찬가지. 통상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12월 말부터 1월 초까지 피크를 이루다 2월 말 개학 이후 4월까지 두 번째 피크를 이루기 때문에 여전히 철저한 주의가 필요하다.
#왜?
한 달째 독감을 앓고 있는 김창수(63)씨. 이렇게 지독한 독감은 생전 처음이다. 1, 2주 앓다 금방 털고 일어났던 예전과 달리 도통 떨어질 줄 모른다. 김씨는 "주변을 둘러보면 나같은 사람이 천지"라며 "올겨울엔 왜 이리 독감이 유행하는지 정말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올겨울 독감이 더 독해지고 길어진 이유는 뭘까? 최근 몇 년 새 12~3월 사이 유행하던 독감은 4월에도 자주 발병하고 발병 기간까지 더 길어졌다는 연구 보고가 심심찮게 등장한다. 이런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예방접종률 감소로 꼽힌다. 경제침체 여파로 2006년 이후 접종률이 점차 떨어지면서 환자수와 유행기간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유난히 따뜻했던 지난해 날씨도 접종률을 떨어뜨리는 데 한몫했다. 보통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늦가을에 하는 게 바람직한데, 지난해 늦가을 기온이 예년보다 훨씬 높아 10월 말~11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이 크게 떨어진 것.
#6개월 미만 영아'65세 이상 노인 꼭 접종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를 비롯한 국내 보건 단체들은 지금이라도 서둘러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2월 말 이후 두 번째 독감 유행 시기가 찾아오기 때문에 지금 접종하면 이때의 유행을 예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예방접종을 특히 서둘러 받아야 하는 우선 접종 대상자는 6개월 미만 유아, 65세 이상 노인, 임신부, 당뇨 등 만성질환자. 우선 접종 대상자에는 신장'간'만성 심장 질환자나 스테로이드 등을 써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과 암 환자 등도 포함된다.
우선 접종 대상자가 아니더라도 소아'청소년이나 영유아를 둔 가족들 또한 단체 접종을 받는 게 현명한 길이다. 우리나라에서 반드시 접종을 받아야 할 대상은 생후 6~23개월의 소아이지만 미국의 경우 생후 6개월부터 18세까지 소아'청소년과 2세 미만 영'유아 자녀를 둔 가족 모두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받는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