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 '유지' 굳혔나

입력 2009-01-30 09:44:03

정부가 29일 어청수 경찰청장 퇴임 후 곧바로 치안정감급 인사를 전격 발표하자 '용산 참사'로 위기에 몰린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의 거취에 대한 다양한 관측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와 여권에서는 유지 쪽에 무게를 싣고 있는 분위기다. 우선 김 내정자가 사퇴할 경우 경찰청장 후보가 될 수 있는 임재식 경찰청 차장과 한진희 경찰대학장, 김도식 경기경찰청장 등 치안정감 3명이 모두 명예퇴직한 것은 '대안'을 없앰으로써 정치권의 김 내정자 흔들기를 불식시키기 위한 조치라는 관측이다.

용산 참사에 대한 여론이 철거민보다 경찰에 더 우호적인 것도 유지에 무게를 싣는 근거다. 청와대에 따르면 언론사와 여론조사 전문기관 7곳중 6곳의 여론조사에서 경찰의 강경진압보다 철거민의 극렬 저항이 더 문제라고 응답했다고 한다. 경찰의 강경진압이 문제라는 응답이 많은 것은 MBC의 100분 토론 조사(60%) 뿐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의 경찰에 대한 인식도 거론된다. 조계종 총무원장 차량 검문으로 어청수 전 경찰청장이 불교계의 사퇴 압박을 받았을 때 이 대통령은 측근들에게 "촛불시위 주동자 검거라는 정당한 법 집행을 하는 경찰청장을 사퇴시키면 어떻게 공직자들에게 일하라고 할 수 있겠느냐"며 '경질 불가'를 분명히 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맥락에서 김 경찰청장 내정자가 진압을 명령했을 뿐 다른 잘못이 없다면 이 대통령이 경질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이 낮다는 게 여권 고위관계자의 분석이다.

김 내정자에 대한 경찰 내부의 평가가 긍정적이란 것도 경질 불가로 기울게 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 김 내정자는 경찰 사이에서 원칙주의자로 통하면서 지역색에 상관없이 고른 신망을 얻고 있다는 전언이다.

물론 검찰의 수사가 변수가 될 수 있다. 수사에서 김 내정자를 경질할 수밖에 없는 결과가 나오고 여론이 나빠지면 이 대통령도 경질 쪽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한 청와대의 공식 입장은 원론적이다. 이동관 대변인은 치안정감 인사가 김 내정자의 자진 사퇴를 염두에 둔 것이냐는 질문에 "그런 정치적 상상이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김 내정자의 사퇴를 전제로 한 것은 아니다"고 했다.

치안정감 인사 이후 김 내정자 사퇴로 주상용 서울경찰청장 내정자나 조현오 경기청장 내정자가 차기 경찰청장이 되는 것 아니냐는 이른바 '예비 경찰청장 후보설'이 경찰 주변에서 나오고 있지만 현재로선 단순한 설(說)에 그칠 공산이 큰 상황이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