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도난 '영주 리조트사업' 피해 누가 책임지나

입력 2009-01-12 10:46:21

인구 11만여 명의 경북 중소도시 영주가 대형 외자 유치 사업장의 부도로 몸살을 앓고 있다. 당초 지난 해 12월 완공 예정인 판타시온리조트가 10월 말 공정 73% 상태에서 900억 원대 부도가 난 때문이다. 부도 피해자들은 채권단을 구성하고 청와대와 각계에 진정서를 내는 한편 김주영 영주시장과 장윤석 지역구 국회의원을 상대로 채권 대위변제 청구서를 보냈다고 한다. 이들이 '준관급공사'로 추진하고 납품'콘도분양'하청 등을 '적극 추천'했기 때문이라는 게 이유라는 것이다.

그동안 영주시는 사업 인'허가에서부터 공사 과정에 많은 행정적'업무외적 편의를 제공해 왔을 것이다. 외지 자본을 유치해 지역에 사업을 펼치는 데 경쟁적으로 사활을 걸었던 것이 그간의 지자체들 분위기다. 따라서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 자치단체와 지역 정치권이 앞장섰던 것 또한 당연한 현상으로 보고 싶다. 그렇다면 부도 이후 사태 수습에서도 책임지는 자세로 앞장서는 모습을 보여야 마땅할 것이다.

부도 직후 영주시장과 국회의원, 시의회의장과 상의회장은 연명의 대시민 성명서를 내고 피해 최소화와 회사 공사 재개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지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적극적 노력은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부도로 흉흉해질 수 있는 지역민심에서 많은 잡음이 터져나오는 것 또한 듣기에 민망한 내용들이다.

전체 부도 피해 중 100억 원대로 알려진 지역 소규모 납품업자와 근로자, 콘도 분양자 등의 피해는 상대적으로 심각하다. 피해자들로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정치'경제권의 사업 홍보 분위기에 따라 납품하거나 공사에 참여하고 콘도 분양 계약을 한 순수 피해자들도 많을 것이다. 무엇보다 피해 보상에 지방자치단체와 정치권 등 영주 지역 사회 지도층이 나서야 하는 이유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