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올해 1조1천423억원의 복지예산 가운데 4천700억원을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20개 사업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은 지난해보다 다소 인상된 지원금과 나아진 혜택을 받을 전망이다.
대구시는 우선 기초생활수급자의 생활안정을 위해 지난해 4인 가구 기준 월 126만원이던 최저생계비 기준을 4.8% 인상한 133만원으로 늘렸다. 유가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장애인 5만3천500가구에 대해서는 '저소득층 에너지 보조금 지원사업'으로 가구당 월 2만원씩 상반기에 총 120억원을 지원한다. 기초생활수급자들에게 주거여건 개선을 위해 임대주택의 임대료 동결, 영구임대주택 주거환경 개선사업 등에도 58억원의 예산을 들일 계획이다.
차상위계층에 대한 지원도 강화된다. 시는 가족해체를 막고 교통사고, 질병, 화재 등으로 재난을 당한 위기가정을 긴급지원하기 위해 긴급복지비 33억원을 마련했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로 전락할 수 있는 잠재적 빈곤계층인 차상위계층에 대한 생활안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까지 동절기 3달간 시행하던 정부양곡 50% 할인사업을 올해부터는 1년 내내 실시한다. 법률적·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500여가구에 대해 긴급생계비를 지원한다.
노인들을 위한 예산도 늘렸다. 홀몸노인을 비롯해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이 힘겨운 노인에게 노인돌보미 177명을 파견한다. 올해 한시적이긴 하지만 차상위 노인가구 일부는 건강보험료의 부담을 덜게 됐다. 시는 월 보험료 1만원 미만의 65세 이상 노인가구 5천700가구를 발굴해 건강보험료 전액을 지원한다.
겨울방학 동안 영양결핍이 우려되는 아동들을 위해 2만4천여명에게 38억원의 급식비를 지원한다. 또 가족의 아동 양육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달서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아이돌보미 파견사업도 실시한다.
일자리사업에도 447억원의 예산을 들여 2만580명이 혜택을 보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 대해 타일, 도배, 보일러 시공 등 6개 과정을 마련해 창업기술 교육을 실시, 자립을 지원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생활이 어려운데도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3월 초까지 비수급 빈곤층 특별 실태조사를 벌인 뒤 이를 토대로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사회서비스 일자리 제공 등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