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쟁점 법안 심의를 두고 여야 대치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김형오 국회의장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이 쟁점법안 처리를 놓고 "야당과 25일까지는 대화하겠다"고 밝히면서 여야가 짧은 '휴전'에 들어갔지만 협상이 순조롭지 못할 경우 직권상정의 권한을 가진 김 의장의 결단이 주목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
이런 가운데 국회는 23일 법제사법위, 기획재정위, 행정안전위,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등 상임위별 전체회의 및 법안심사소위를 열어 계류 법안을 심의할 예정이지만 일부 상임위에서 민주당이 회의실 점거를 계속하고 있어 지루한 공방만 6일째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김 의장 입장에서는 다행스럽게도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가 23일 오전 민주당 정세균 대표에게 만나 토론할 것을 제안했다. 박 대표는 "정 대표에게 만나자고 했으며, 언제 어디서든 만날 것을 제안한다"며 "야당과 접촉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고 김형오 국회의장도 여야 간 만남을 직권중재하겠다고 했으니까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김 의장은 당초 이날 오전까지 여야 지도부 간 접촉이 없을 경우 직권 중재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박 대표가 공개 회동을 제안했고, 홍준표 원내대표 역시 "3당 원내대표가 만나서 모든 것을 논의하자"며 물밑 접촉에 나서면서 일단 지켜보기로 했다.
김 의장은 중재자를 자처한 자유선진당이 하루 더 물밑 타협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중재시한을 하루 더 늦출 수 있다며 대기 모드로 들어갔다.
이에 반해 민주당은 여전히 요지부동이다. 새해 예산안 처리 강행 및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단독 상정에 대해 한나라당의 사과 및 재발방지 약속이 전제돼야 대화에 응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이 25일 이후 사실상 단독으로 법안처리에 나서겠다고 엄포를 놓은 상황인데, 괜히 만났다가 한나라당에게 대화를 했다는 명분만 줄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선진당은 한나라당의 사과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민주당과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이를 전제조건으로 삼아 대화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안 된다는 부분에서는 한나라당과 공동보조를 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김 의장은 하루 정도 더 여야 물밑협상을 지켜본 뒤 '직권상정' 카드를 꺼낼지를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