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는 대구 중심부 건들바위 일대로 그곳 암괴의 안위를 확인하려는 시민들 발걸음이 끊이지 않은 한 주였다. 삿갓바위 서편 병풍형 암벽의 지난 월요일 밤 붕괴 사고가 시민들을 얼마나 안타깝게 했는지 증언하는 풍경이다.
건들바위가 그렇게 소중한 이유 중 하나는 그게 조선조 초 '대구 10경' 중 하나로 지목된 곳일 가능성이 있을 정도의 명소인 점일 터이다. 하지만 그것의 진정 큰 가치는 대구라는 땅덩어리가 형성되던 1억 년 전의 역사를 증언하는 귀하디 귀한 자료라는 점에 있다. 백악기라 불리는 그 즈음 경상도는 공룡들이 노니는 거대한 호수였으며, 그 후 점차 흙이 퇴적돼 대구분지로 바뀌어 온 변화의 역사가 그 절벽바위에 기록돼 있다는 얘기다. 일대가 기념물로 지정된 이유도 이것이었다.
그런 소중한 것인데도 그 암벽에 박힌 나무 뿌리 관리를 제대로 못해 붕괴사고가 생겼다니 참으로 허탈하다. 2년여 전 실시된 현장조사를 통해 뿌리가 틈새를 계속 더 벌려 나가 암벽을 위태롭게 하는 것으로 지적됐는데도 그랬다는 것이다. 그때 이미 암석층이 8도가량 앞으로 기울어져 나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하는데도 말이다.
대구 시가지에서는 몇 안 되는 자연유산들마저 자꾸 사라져 가 안 그래도 안타까움이 커지던 마당이다. 신천 상동교 상류 구간 도로공사 과정에서 그곳 용두바위가 훼손돼 많은 시민들을 가슴 아프게 했던 작년 여름의 일도 그 중 하나였다. 그 전에는 만촌동 금호강변 바위절벽 훼손이 역내 큰 걱정거리가 됐었다. 문화재적 가치 못잖게 귀중한 게 지형 가치인데도 그 보전장치가 부실하자 의식 없이 마구 훼손한다는 말이다.
건들바위 암벽 붕괴 사고는 그런 자산들에 대한 우리 태도를 두루 점검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 자연유산이든 문화재든 다를 수 없다. 민초와 의병들의 수많은 세월에 걸친 애환을 간직한 유적이면서도 계속 버려져 있기만 한 팔공산 정상부의 '공산성'도 그래야 할 대상 중 하나다. 눈을 씻고 봐도 흔적 하나 찾을 수 없는 자리에 '대덕산성'이라고 안내판만 내다 세워 놔 궁금증이나 더 키우는 불친절하기 그지없는 앞산 정황도 마찬가지다.
까딱 때를 놓치면 다시 회복하기 힘든 게 바로 이런 유산들이다. 보전조치는 빠를수록 좋다는 사실을 되새겨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