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촌동 수제화 골목, 2008년 동성로는 연말 분위기로 한층 들떠있지만 귀퉁이를 돌아 수제화 공장에 들어서면 갑자기 화면이 정지된 듯하다. 확 끼쳐오는 본드와 가죽냄새 사이에서 일일이 손으로 가죽을 재단하고 본드를 발라 밑창을 만드는 기술자들의 모습은 1970년대 공장 풍경과 다르지 않다.
흔히들 '신발 만드는 일은 비행기 만드는 것보다 더 어렵다'고 한다. 사람들의 발 모양이 그만큼 천태만상이기 때문이다. 아미콜렉션 김오철(46) 대표는 13살부터 신발 만드는 일에만 매달려 33년 외길 인생을 걷고 있다.
"초등학교 졸업 후 사촌 형으로부터 기술을 배우기 시작했어요. 당시엔 본드가 있었나요. 미제 깡통에 신나를 붓고 생고무를 잘라넣어 직접 풀을 만들어썼죠. 가죽도 손으로 다 깎아야 했어요."
당시만 해도 기술전수는 도제식으로 이뤄져 12시간 작업시간 중 3,4시간은 선배에게 맞아가며 기술을 배웠다. 단 한 대 있는 버스가 끊기면 비산동 공장에서 평리동까지 걸어가야 했다. "13살 먹은 어린 아이가 도시락 가방 들고 한밤중 공동묘지를 지나다니던 그 심정이 어땠겠어요?" 당시 월급이 400원. 그래도 그에겐 '최고의 신발을 만들겠다'는 꿈이 있었다.
1980년대 들어서자 수제화시장도 호황을 맞았다. 1984년 밑창을 뺀 신발 껍데기 하나를 만드는 데 견습생들이 받은 돈은 160원. 기술자들이 파업하고 경기도 좋아 공임은 해마다 올랐다. 20대 초반었던 그의 한달 월급이 100만원이 넘었으니, 꽤 벌이가 좋았던 시절이었다.
그런 호황기는 1990년대까지 이어졌다. 한창 바쁠 때, 기술자들의 점심시간은 5분을 넘지 않는다. 도급제인 까닭에 일한만큼 받기 때문이다. 잠잘 틈 없이 하루종일 일만 해도 신명이 났다.
하지만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200여명의 기술자가 몸 담고 있는 이 골목에서, 김씨는 수제화 기술자의 마지막 세대다. 50,60대 선배들이 수두룩하고 후배라 해봤자 고작 1,2살 차이가 난다. 기술을 배우는 데 수년이 걸리는데다 돈이 되지 않아 배우려는 사람이 없는 탓이다.
"수제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일일이 손으로 만들어요. 직접 디자인해 종이에 본을 뜬 후 가죽을 재단합니다. 디자인에 따라 조각조각 잘려진 조각들을 미싱사들이 박으면 바닥을 만들어 붙입니다. 바닥 하나를 만들기 위한 공정도 복잡해요. 한마디로 '예술'에 가깝습니다."
그의 공장엔 수만 개의 신발본이 쌓여있다. 한 계절에 나오는 신발디자인은 300여개, 일년이면 1천200개의 서로 다른 신발디자인을 만들어낸다는 결론이다.
신발 한 켤레를 만들기 위해선 최소 6,7명의 각 분야 전문가가 필요하다. 최고로 바쁠 때, 하루 20시간 동안 이들이 만들어낼 수 있는 신발은 최대 50켤레.
하지만 요즘은 이런 바쁜 날들이 차츰 줄어들고 있다. 수제화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값싼 중국산 때문에 휘청이더니 이젠 불황 때문에 골목을 찾는 이들이 뜸하다. 재료비는 최소 30% 이상 올랐다. 수제화 기술자들도 하나 둘 골목을 떠나고 있다.
"백화점에선 한 켤레 20만원이 훌쩍 넘어도 당연하게 사면서, 여기선 8,9만원이 비싸다고들 하세요. 재료비와 인건비를 빼고 나면 말 그대로 입에 풀칠하기도 빠듯한데 말이죠."
그는 그래도 최고의 국산 재료를 고집한다. 그것이 30년 이상 외길을 걸어온 '장인'의 자존심이다.
신발 만들면서 선배들은'돈은 안 되고 골병만 들었다'고들 한다. 본드·가죽냄새에 평생에 찌들어 있는데다 좁은 작업장에서 같은 자세로 일해 등과 허리는 구부정하게 굽었다. 먼지 때문에 기관지염도 달고 산다. 그래도 그의 신발 사랑은 어쩔 수 없다. "길을 걸을 때, 운전하다가 횡단보도 앞에 설 때 사람들 신발만 봐요. 자기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은 사람을 보면 참 안타깝죠."
수제화 기술자의 마지막 세대인 그가 손을 놓게될 10년 후면 아마 수제화 명맥이 끊기지 않을까 걱정이다. 수제화는 꼭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지론. 평발에서부터 발이 불편한 장애인, 기형적인 발을 가진 이들에게 맞춤신발은 필수다.
"혼을 담아 처음부터 끝까지 손으로 만드는 수제화가 명품 대접을 받을 수 있는 시대가 꼭 오리라 믿어요. 외국산 브랜드에만 장인이 있나요. 여기 수제화 골목에도 30,40년된 장인들이 수두룩한 걸요. 나만의 디자인으로 내 신발을 인정해주는 사람들을 위한 신발을 만드는 것이 꿈이죠."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