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세계육상 정부 지원, 현실은 '생색내기'

입력 2008-11-29 06:00:00

李대통령 '대구세계육상 전폭지원' 거듭 밝혔지만…

참여정부 시절 정부 및 이명박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원 약속을 받은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대해 정작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원에 소홀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시가 육상진흥센터를 전액(100억원) 국비로 건립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50% 지원에도 못미치는 45억원에 그쳤고, 마라톤코스 도로시설 정비사업비도 140억원에 문화부는 60억원만 반영했다. 또 조직위원회 운영비도 108억원을 신청했지만 53억원만 반영하는 등 육상대회 사업에 대한 지원이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7, 28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통신위원회 예산심사에서 지역의원들이 증액을 위해 동료의원들에게 읍소하면서 겨우 도로시설 정비사업비와 조직위 운영비는 대구시의 요구대로 증액, 원상회복됐지만 육상진흥센터는 증액에 실패해 45억원으로 결정됐다. 마라톤코스 일부구간(중동네거리~수성못오거리) 도로확장예산도 문화부는 반영않았지만 국회 상임위에서 113억원이 추가됐을 뿐이다.

이 때문에 유인촌 문화부 장관은 최근 국회에서 열린 국제경기대회지원특위에 참석해 "대구시가 요청하는 부분은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취지로 해명했지만 실제 예산지원 내역을 살펴보면 빡빡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지금까지 수차례에 걸쳐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실제 정부 차원의 지원은 소극적이라는 비판이다.

이는 참여정부 당시의 지원방안에도 못 미치고 있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지난 2007년 3월 대구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지로 확정된 후 당시 김명곤 문화관광부 장관과 김병준 청와대 정책기획위원장은 앞다투어 "정부가 앞장서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었다. 이 때문에 민주당 전혜숙 의원은 최근 국제경기대회지원특위에서 "지난 정부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는데, 현 정부에서는 전 정부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따지기도 했다.

유 장관은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메달을 따낸다는 목표 아래 올해부터 2012년까지 3천900억원의 예산을 투입, 대대적인 육상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은 ▷2011년까지 세계 10위권 육상종목 10개 육성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2012 런던올림픽 1개 이상 메달 획득 ▷2016년까지 육상영재 300명 발굴·육성에 나서는 등 '한국 육상 발전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같은 육상진흥계획 발표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구시가 대회준비를 위해 필요한 예산지원에는 인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국회 국제경기특위 위원장인 박종근 의원 측은 "문화부가 대구를 지원하겠다는 의지는 분명히 있다"며 "하지만 대구시민들이 요구하는 수준만큼 지원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국제경기특위 소속 이명규 의원은 "문화부가 기획재정부에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관련한 예산을 요청할 때 대구에서 요구한 금액의 절반가량만 요청했다"며 "이는 지원에 인색한 것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