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군장교와 하사관 육성기관인 여군학교가 창설 52주년 만인 2002년 10월 31일 폐교됐다. 육군은 군내 남녀차별을 없애고 여군의 자질 향상을 위해 1998년에 여군학교 해체 방침을 미리 발표하고 여군장교와 부사관 양성과정을 각각 경북 영천의 제3사관학교와 전북 익산의 육군부사관학교에 편입, 통합운영키로 했다.
여군은 한국전쟁 기간 중인 1950년 9월 임시수도 부산에서 491명의 지원을 받아 발족된 여자의용군교육대로 출발했다. 당시 여자의용군은 전방사단에 배치돼 정보수집, 수색활동, 선무활동을 주로 했으며 후방에서는 일반 행정요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육군본부의 기구개편에 따라 1954년 2월 여군부로 승격, 개편돼 모병과 교육을 실시했다. 그리고 1968년에는 베트남전에도 10여명이 파견되어 대민지원 활동과 섭외업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1990년 여군부가 여군학교로 승격함과 동시에 여군 병과도 해체, 기존 간호업무 및 비전투 행정분야에서 탈피해 보병, 통신, 정보, 공병 등 야전 및 정책부서에도 진출했다. 여군학교는 장교 1500여명과 부사관 6300여명을 배출하고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1887년 중국 정치가 장제스 출생 ▶1984년 인디라 간디 인도 총리 피살
정보관리부 성일권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