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기본정보 누가 맞나…공공기관 홈피 '제각각'

입력 2008-10-27 09:40:37

독도에 대한 관리주체와 면적·주민 현황·섬 숫자 등 기본적인 정보가 정부의 각 부처와 기관의 인터넷 사이트 마다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도를 관할하는 경북도의 '사이버 독도'는 지금까지 독도의 관리주체를 이미 없어진 '해양수산부'로 표기하고 있는 것은 물론 해양수산개발원과 한국해양연구원·해양경찰청·국립해양조사원 등 4곳은 국토해양부가 독도를 관리한다고 명기하고 있다. 반면 동북아역사재단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은 관리주체가 없다고 했다.

독도의 전체 면적에 대해서도 경북도는 18만7천554㎡로 기록했고, 국무총리실 산하 해양수산개발원과 해양경찰청, 외교통상부 산하 동북아역사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은 18만7천453㎡로 표기하고 있으며, 국토해양부 소속 국립해양조사원은 18만902㎡로 기록하는 등 독도에 대한 정보가 서로 달라 혼란을 주고 있다.

독도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숫자도 제각각이다. 경북도와 해양수산개발원은 "실거주자는 김성도·김신열씨 부부 2명이며, 주민등록상 인구는 김성도·김신열·편부경씨 등 3명"이라고 표기하고 있어, 국토해양부 소속 항로표지 관리 공무원 허원신(39)씨는 주민등록 거주 인구에서 빠져있다.

또한 한국해양연구원은 실거주자 3명에 주민등록상 인구 4명으로 바르게 표기하고 있는 반면 해양경찰청은 없다고 하고 있고, 동북아역사재단도 "실거주자는 없고 주민등록상 거주자가 3명"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주민등록상 인구는 없다"고 하고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은 "김성도·김신열씨는 몇년동안 살았고, 주민등록상 인구는 없다"고 인터넷 사이트에 올렸다.

독도 주변 섬 숫자도 저마다 다르다. 경북도 등 4개의 정부기관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동도·서도와 89개의 부속섬으로 이뤄져있다고 했지만, 국립해양조사원은 동도·서도 주변 32개 작은섬과 58개의 암초 등 94개로 기록했다.

또한 해양경찰청은 동도·서도와 89개 부속도서로 표기했고, 해외문화홍보원은 '없음'으로 표기해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의 관리 표기가 부처와 기관마다 '천차만별'이어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울릉·허영국기자 huhy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