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벤치마킹할 만한 서울의 '자전거 혁명'

입력 2008-10-22 10:36:12

서울시청이 어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외곽에서 도심까지 자전거 출퇴근이 가능토록 하는 게 목표라 했다. 전 지역 간선도로에 전용도로를 만들겠다는 얘기다.

이 정책은 앞서 우리가 봐 왔던 것들과 수준이 다르다. 작년 이후 여러 도시들이 앞다퉈 추구하는 자전거 정책들은 대개가 일부 구간 전용도로 만들기나 무료 공용자전거 비치 정도다. 전 지역 간선도로에 출퇴근용 전용도로를 만들겠다는 데까지 나아간 경우는 없었다.

더욱이 대구는 그 단계 도달조차 뒤늦었다. 성서공단과 지하철역을 잇는 전용도로를 만들겠다는 정도가 앞서 마련된 방침이고, 지난달 추가 발표된 것이래야 무료 공용자전거를 두겠다는 정도에 불과했다.

서울은 저렇게 앞서 가는데 대구는 왜 이럴까. 지방정부 지도부의 철학과 소신 차이 외에는 찾을 만한 원인이 없다. 서울시장은 취임 후 2년여간 갖가지 실험을 해 온 덕분에 비전을 확립하고 마스터플랜까지 확정하는 데 이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대구시장은 불과 일 년 전까지도 자전거 도로 건설 대상이라고는 신천 둔치 정도밖에 생각하고 있지 않았다. 작년 9월 시의회 답변에서 확인됐던 일이다.

지금 온 나라에 자전거 바람이다. 창원'대전'서울 등 여러 도시 지방정부들이 그 흐름을 주도한다. 인천같이 도로 중앙에 자전거도로를 내기로 한 경우까지 있다. 중앙정부도 국가전략과제로 이를 채택했으며, 최근엔 경찰청도 동조해 도로교통법을 고쳐 자전거 통행이 우선 보장되도록 하겠다고 입법예고했다.

하지만 자전거 타기는 전용도로 없이는 권하기 어렵다. 그것이야말로 모든 것의 키인 셈이다. 대구시청도 내년까지 자전거 환경 재정비계획을 세운다고 한다. 체면치레하는 정도에 그치려 들어서는 안 된다. 태도와 자세부터 환골탈태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