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급등…빚 낸 서민들 허리 휜다

입력 2008-10-06 09:32:27

전세계적인 금융위기 여파가 차츰차츰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금리까지 급등하면서 빚을 낸 사람들의 부담이 늘어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아파트에 입주하면서 아파트를 담보로 빚을 낸 가구가 물어야하는 이자율은 이달들면서 올들어 최고치로 올라섰다.

더욱이 내년부터는 거치기간이 끝나고 원금까지 같이 갚아야 하는 가구도 급증하기 때문에 금융위기로 인한 이자율 상승이 길어질 경우, 큰 혼란이 빚어질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금리 연중 최고

변동금리형으로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들은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에 따라 보통 3개월에 한번씩 이자율이 변한다. 그런데 양도성예금증서 금리가 이달 들어 연중 최고치로 올라섰다. 주택담보대출 고객 가운데 변동금리형으로 빌린 사람은 전체 주택담보대출 이용자의 95%가 넘는다.

91일물 CD금리는 지난 2일을 기준으로 연 5.88%. 1월10일 이후 9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대구권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은 대구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이자율은 6일 기준으로 6.87~8.37% 사이에서 움직이는 중이다. 지난주에 비해 1주일새 0.07%포인트 올랐다.

외환은행은 이번주초 변동금리를 지난주초에 비해 0.23%포인트 높은 6.99~8.27%로 고시했다. 2주간 0.25%포인트 인상되면서 연중 최고치였다.

기업은행은 6.90~8.40%로 0.10%포인트 인상했으며 하나은행은 6.98~8.28%로 0.07%포인트 높였다. 국민은행은 6.61~8.11%로 0.05%포인트 올렸으며 우리은행과 신한은행도 6.75~8.05%와 6.65~8.25%로 각각 0.05%포인트 인상했다.

이런 가운데 집을 잡고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사람들은 계속 늘고 있다. '부동산 광풍'이 불었던 2006년 이전에 분양을 받았던 사람들이 속속 입주를 하면서 중도금대출을 주택담보대출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자율 상승세가 내 집 마련을 한 서민들에게 큰 짐을 지우고 있다.

국민, 우리, 신한, 하나, 기업, 외환은행 등 국내 6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달말 현재 177조669억원으로 지난해말보다 11조8천464억원이나 증가했다.

◆고정금리 10% 돌파

비록 대상은 많지 않지만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급등하고 있다.

신한은행의 3년 고정금리형 주택대출 금리는 3일 현재 8.40~10.00%를 기록했다. 최고 금리가 주초보다 0.14%포인트 상승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올 초 9.33% 수준이던 신한은행의 주택대출 최고금리는 지난 5월 6일 7.89%로 하락하기도 했지만 이후 상승세로 돌아서 5개월간 2.11%포인트 급등했다.

금융채 3년 물 금리의 3일 평균치를 반영해 매일 변경되는 신한은행의 주택대출 고정금리는 이날 8.39~9.99%로 지난 주말보다 0.01%포인트 하락했지만 금융채 금리 등락 폭을 고려하면 10%대 복귀는 시간문제로 보인다.

국민은행의 이번 주 주택대출 고정금리는 8.31~9.81%로 지난주보다 0.20%포인트 상승하면서 최고 금리가 10%에 육박했다. 우리은행의 이번 주초 고정금리는 8.64~9.74%로 지난 주초에 비해 0.21%포인트 급등했으며 기업은행은 8.00~9.46%로 0.05%포인트 올랐다.

◆마이너스 통장 이자도 비상

직장인들의 신용대출 금리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대구은행의 1년짜리 직장인 신용대출 금리는 이번주들어 8.44~13.25%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다. 지난달말에 비해 0.08% 올랐다.

한국씨티은행은 지난 2일부터 2년제 직장인신용대출 금리를 11.70%로 0.70%포인트 인상했으며 스마트론과 닥터론도 12.60%와 11.80%로 각각 0.25%포인트 인상했다. 외환은행도 이번 주초 리더스론 금리를 7.76~8.46%로 지난 주초보다 0.37%포인트 높였다.

◆금리 오름세 어디까지?

대구은행 개인여신부 최상수 차장은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다. 거치기간이 끝나고 원금을 분할 상환해야하는 때가 도래된 가구들이 점점 늘고 있는데 이럴 때는 은행을 찾아 협상을 하는 것도 좋다. 거치기간을 늘린다든지, 분할상환을 하는 방법 등 협의 가능한 방안이 많으니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