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흘러야 한다. 물의 속성이 흐름이기 때문이다. 옛 책에도 '집 앞을 흐르는 물은 급하게 흘러선 안 된다. 그렇다고 고인 물도 못 쓴다. 급류에선 생기가 모이지 못하고, 고인 물은 썩은 물이다. 모름지기 물은 흐르는 듯 마는 듯 흘러야 한다'고 했다.
집안의 정체된 기운을 공기의 순환으로 변화시키듯 물도 자주 갈아줘야 탈이 없다. 고인 물을 없애란 얘기다. 예컨대 정원 연못의 물은 쉽게 더럽혀진다. 여기에 담장까지 높다면 바람의 순환마저 물 건너간다. 더러워진 물에선 죽은 기운이 솟는다. 보기엔 좋을지 모르지만 그 죽은 기운이 빠져나갈 수 없어 득보다 실이 더 크다.
물은 주변의 기운을 끌어들인다. 또 하나의 물의 속성이다. 화장실 욕조의 물을 가급적 비워야 하는 이유가 된다. 변기나 제대로 닦지 않아 더러워진 물때의 탁한 기운을 끌어들일 확률이 높다.
수족관이나 어항은 훌륭한 풍수소품이 된다. 득과 실의 논란이 현재진행형인 사안이기도 하다. 부정적 시각은 물이 고여 있어 그 기운이 혼탁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요, 긍정적 입장은 건조한 집 안을 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보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깨끗한 물이다. 흐르지 못하는 물은 자주 갈아주는 것으로 흐름을 대체할 수 있다.
하국근 편집위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