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사후약방문식 수습…기념관 건립에도 주민 갈등
우여곡절 끝에 올 연말 시민안전테마파크를 개관하는 대구는 여러 모로 차이가 있다. 고베대지진과 지하철 화재 참사는 규모나 성격이 다르지만 대구의 대처 방식은 그리 큰 점수를 받을 것 같지는 않다.
대구시와 시민들의 사후 대처는 미숙하기 짝이 없다. 지난 2006년 6월 착공된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는 팔공산 동화집단시설지구에 자리잡기까지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다. 2003년 2월 지하철참사 이후 사업부지를 확정하지 못해 2년 10개월이나 표류하다 2005년 11월에야 현재의 부지로 결정됐다.
하지만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건립 기공식날에도 찬성-반대 주민간 주먹다짐을 벌이는 등 주민갈등까지 빚었을 정도로 재난 그 이후를 인식하는 과정은 일본과 판이했다.
1995년 4월 발생한 상인동 가스폭발 참사도 위령탑은 세웠지만 그 이후를 기억하는 이는 많지 않다. 그저 부끄러운 지역의 모습으로 치부해버리기 일쑤다. 달서구 월성동 산6 본리공원에 세워진 위령탑은 국민 성금 15억여원을 들여 1996년 완공됐지만 재난안전의 상징물로 여겨지는지는 의문이다. 사고가 일어난 상인네거리 일대에서 좀 떨어져 있는데다 당시 상황을 알려주는 기록물조차 없다. 심지어 위령탑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시민들이 대부분이다.
3일 3주기를 맞은 상주참사도 11명이 숨지고 162명이 다친 대형 사고였지만 사고 발생 이후 쏟아졌던 각계의 관심이 사그라지면서 점차 잊혀지고 있다. 유족 측이 요구하는 위령탑 건립 문제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