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들이 많은 세상이다. 말을 못하면 오히려 손해를 볼 만큼 말은 자신의 과오나 실수를 교묘히 포장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종횡가의 대표적 인물인 소진(蘇秦)과 장의(張儀)는 세치 혀로서 제후국을 설득, 중국 전국시대를 합종과 연횡정책으로 몰아가기도 했다.
요즘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특히 선거철이면 뭇 정치후보들은 국민들을 향해 달콤한 큰소리를 내뱉거나 상대후보를 겨냥한 말의 비수를 내지른다. 하지만 그 공약들이 이뤄지는 것은 얼마나 될까.
이 글귀는 '자기가 한 말은 부끄럽게 되지 않아야 하는데, 그것을 실천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는 뜻이다. 한 번 내뱉은 말은 실천을 해야 하는데 그것이 어려우므로 함부로 입을 열면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는 점을 일깨우고 있다. 임금과 대부들의 행적과 정치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 논어 헌문(憲問)편에 나온다.
시경(詩經)에서도 '白圭之王占(백규지점)은 尙可磨也(상가마야)이나 斯言之王占(사언지점)은 不可爲也(불가위야)'라고 했다. '흰 옥의 티는 갈아낼 수 있으나 말의 티는 어쩔 수 없다'는 의미로 말의 인플레이션, 말의 거품이 점점 많아지는 요즘, 한번 쯤 새겨두면 말로 인한 곤란함은 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작( )은 부끄러워하다는 뜻이며 점(王占)은 옥의 티란 뜻으로 쓰인다.
우문기기자 pody2@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