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분야에 여성 파워가 드세다. 행정안전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정부 부처 내 국가직 공무원 중 여성 공무원은 전체의 45.2%인 27만2천600여 명으로 나타났다. 1998년 33%에서 12.2% 포인트나 높아졌으니 놀라운 증가세다.
이 같은 수적 확대는 무엇보다 2003년 공무원 兩性(양성) 평등 채용목표제 도입으로 여성 합격률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반직 공무원 신규 채용에서 여성 합격률은 10년 전 23.4%에서 지난해 45.2%로 늘었고, 외무고시도 16.7%에서 67.7%로 경이적인 합격률을 보였다. 남성 역차별 소리가 나올 만한 상황이다.
특기할 만한 흐름으로는 남성 영역으로 인식되던 검찰'경찰'공안 등의 분야에 여성들이 대거 진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성 검사의 경우 10년 전 전체의 1.6%(17명)에서 작년엔 13.6%(220명)로 무려 8배 이상 치솟았다. 검찰사무와 마약 수사직, 교정'보호관찰, 외교 등 남성이 주류를 이루던 분야에서 性(성)의 장벽이 급속하게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같은 여성들의 활발한 공직 진출을 뒤집어 생각하면 씁쓸한 면도 없지 않다. 고학력화와 함께 취업을 원하는 여성들은 크게 늘고 있지만 공무원 등 소수의 직종 외엔 선택 폭이 그만큼 좁기 때문이다. 여성 공무원 대다수가 하위직에만 몰려있을 뿐 상위직 관문이 좁은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09년부터는 공무원 공채 응시 연령 상한선이 폐지돼 고학력 여성들이 대거 공직에 도전할 전망이다. 더욱 활발해질 여성 공직 진출에 맞춰 승진 문제, 출산 및 육아 휴가 등 제도적 장치들을 살피고 허술한 부분들은 개선함으로써 질적 성장 또한 도모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