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처럼 꺾이지 않던 해외 유학·연수비 지출액 증가세가 올 상반기들어 외환위기 이후 최대폭으로 뚝 떨어졌다.
서비스수지 적자를 키우는 '주범'이었던 유학연수비 지출액 증가율이 10년만에 최대폭 감소를 나타낸 것은 일단 경기 침체와 환율상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국내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등 '꼭 해외에 나갈 필요가 없다'는 의식의 확산도 한몫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해외유학·연수비 대외지급액은 22억5천580만달러로 지난해 상반기(1억3천770만달러)에 비해 5.8% 감소했다. 지급액이 줄어든 것은 일시적으로 환율이 급등한 2001년 이후 7년만에 처음이고 전년 대비 감소폭으로는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크다.
유학연수비는 그 전해 같은 시기 대비 증감률을 기준으로 2002년 47.1%, 2003년 29.3%, 2004년 32.7%, 2005년 40.7%, 2006년 34.0% 등을 기록, 매년 30, 40%대 고공행진을 벌였으나 지난해 16.3%로 둔화된데 이어 올해는 아예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은 일단 유학연수가 꼭지를 친 것으로 분석하고 올해 연간 기준으로도 10년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다.
해외유학·연수비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과 관련, 원/달러 환율의 상승이나 경기 침체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는 해석도 있지만 해외유학·연수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올해 원/달러 환율의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시기와 대비했을 때 1분기 1.8%, 2분기 9.4%로 2001년(1분기 13.0%, 2분기 16.9%)에 비해 크게 낮다. 더욱이 2001년과 비교할 때 환율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낮았음에도 불구, 감소폭은 6배 이상 크다는 것.
유학연수를 통해 얻는 이점이 비용 투입에 비해 적은데다 영어캠프 등 국내 영어교육기반이 탄탄해진 점이 해외로 가는 발걸음을 줄인 것으로 한국은행은 분석했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