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건강 관전법
10일 대구스타디움(월드컵경기장) 야외공연장에서 '베이징올림픽 태극전사 선전기원 거리응원전'에 참가한 이태호(36)씨.
태극전사들의 잇단 금메달 소식에 여름 무더위를 날려 보냈지만 11일 출근길이 편치 않았다. 얼마나 소리를 질러댔던지 쉰 목소리가 제대로 돌아오지 않고, 새벽까지 TV하이라이트를 보며 술과 안주를 챙겨 먹은 탓에 속까지 더부룩하다. 이씨는 "올림픽도 좋지만 몸도 제대로 챙겨야겠다"며 "직장 동료들 모두 상태가 안 좋다"고 했다.
온통 올림픽 얘기다. 한국수영 44년의 한을 푼 박태환의 금메달 소식부터 올림픽 6연패의 신화를 쏜 여자양궁 단체전까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올림픽에 울고 웃는 요즘이다. TV 앞에서, 거리에서 하루종일 대한민국을 응원하느라 젖먹던 힘까지 쥐어 짠다.
하지만 올림픽 분위기에 휩싸여 내 몸 축나는 줄 모르면 곤란하다. 과도한 흥분이나 지나친 응원은 여름 불볕 더위와 맞물려 건강에 이상 신호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밤낮이 뒤바뀌거나 야간 음주나 과식이 겹치면 자칫 병원신세를 져야 하는 지경까지 이를 수 있다.
올림픽기간에 가장 건강에 신경 써야 하는 사람들은 단연 심장병 환자들이다.
경기 승패에 지나치게 집착하다 보면 실신하거나 사망하는 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다. 교감신경을 지나치게 자극해 혈전 생성으로 이어지면 언제 동맥이 터질 지 모르는 위급 상황을 맞을 수 있기 때문. 이런 환자들은 조금만 가슴에 통증이 와도 경기 시청을 중단한 뒤 안정을 취하는 게 좋고 재방송이나 하이라이트를 제대로 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TV앞에서든, 거리에서든 지나치게 소리를 지르는 것도 좋지 않다. 난청에 시달리거나 쉽게 목이 쉬고 꺼칠해 질 수 있기 때문. 응원 현장에서 한참을 함성에 휩싸여 있다 보면 소음성 난청으로 청력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처음에는 소리가 잘 들리지 않다가 며칠 쉬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잘 쉬지 못하고 소음에 계속 노출되면 귀가 울려 일상생활이 쉽지 않은 증상으로까지 진전된다.
목소리가 쉬는 현상도 마찬가지. 보통은 쉽게 회복되지만 이틀, 사흘 연속적으로 계속 소리를 지르면 성대가 붓거나 손상된다. 야외에서 응원하고 구경할 때 이 같은 목 잠김을 막으려면 물을 자주 마시고 틈틈이 목을 쉬어 주는 게 좋다.
베이징올림픽은 지난번 아테네올림픽과 달리 시차에 큰 불편이 없어 다행이지만 낮에 놓친 경기 재방송이나 하이라이트를 밤새워 보는 것도 좋지 않다. 수면부족으로 이어져 피곤이 쌓이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 새벽까지 깨 있다 보면 술과 간식에 손이 많이 가 당뇨환자의 혈당을 높이거나 고콜레스테롤을 유발할 가능성도 크다. 어쩔 수 없이 음식을 먹는 상황에서는 과일과 야채 위주로 섭취하는 게 그나마 건강을 지키는 길이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