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일 시장 체제의 대구 市政(시정)에 철학이 없다는 懷疑(회의)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엊그제는 시민단체 관계자가 시장 면전에서 그 문제를 거론하면서, 그래서는 시민들의 지지는커녕 이해도 얻기 힘들 것이라고 비판했다. 내일 당정협의회를 갖기로 돼 있는 한나라당도 김 시장이 대구를 어떤 도시로 만들어 가고자 하는지 꿰뚫는 철학과 방향이 없어 곤혹스럽다고 했다. 시청의 요구대로 중앙정부를 상대로 여러 사업에 대한 지원에 나서야 하지만 자신들조차 그 설득력에 확신이 안 간다는 말이다.
물론 김 시장은 이런 지적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일반 시민은 말할 것 없고 같은 정당 국회의원들까지 느끼기 시작했다면 문제는 분명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더욱이 철학은 어떤 개별 정책들보다 중요한 것이어서 그것 없이는 시정이 지향점은 물론 목표의식과 추진력조차 잃고 오락가락할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면 되는 일도 없고 안 되는 일도 없는 상황에 빠지고, 리더십이 소실됨으로써 시민들은 또 그들대로 응집력을 잃은 채 우왕좌왕하게 될 위험성도 높다. 지난 세월 일부 기간 대구 시정에 대해 나왔던 '잃어버린 몇 년' 같은 평가가 바로 그런 상황의 결과물임은 누구나 아는 일이다.
2년여 전 5'31 지방선거 직후 당선자들이 업무인수를 준비할 그때 우리가 시정'도정 철학과 지역경영의 밑그림부터 먼저 그려 내보이라고 촉구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그런데도 임기의 절반이 지난 지금에 와 철학 부재론이 나오기 시작했다는 것은 여간 심각한 일이 아니다. 게다가 대구에는 이제 또 몇 년을 내다버려도 좋을 만큼 체력이 남아 있지 못하다. 김범일 시장은 만사 제치고 엄중한 자기 점검부터 서둘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