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에 시인 하나 풀꽃으로 피어나
바람결에 놀다 갔다
풀무치 새울음소리 좋아하고
이웃 피붙이 같은 버들치
힘찬 지느러미짓 더욱 좋아했다
찬 이슬 색동 보석 맺히는
풀섶 세상
― 참 다정도 하다
제3회 백석문학상 시상식을 사흘 앞두고 영면한 시인이 남긴 마지막 유고시. 서울대 영문과 교수로서, 뛰어난 시인으로서 활기차게 활동하다가 오십대 중반 안타까운 나이로 한 줄기 덧없는 무지개로 돌아간 사람. "찬 이슬 색동 보석 맺히는 풀섶 세상"을 누구보다 더 깊이 사랑했던 시인. 이슬이 왜 '색동 보석'인가. 해가 뜨면 속절없이 사라져야 하는 운명이기에 이슬이나 무지개가 그토록 아름다운 것. 속절없는 생이라는 점에서 사람의 한평생도 이와 다를 바 없다.
시인보다 더 시인다운 한 평론가가 며칠 전 다정한 인사를 남겨두고 우리 곁을 떠나갔다. "풀무치 새울음소리 좋아하고" 푸르고 싱싱한 나무와 숲을 누구보다 좋아했던 바람재 김양헌. "달과 몽돌이 이야기를 나누고 바다와 달이 몸을 섞는 현장"을 꿰뚫어볼 줄 알았던 섬세한 감수성. 딱딱한 비평문을 말랑말랑한 시의 몸으로 녹여냄으로써 한국비평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 사람. 극심한 고통과 싸우면서도 침상 머리맡에 붙여놓은 '淸淨一念'을 놓지 않으려 했던 그의 마지막에 옷깃을 여민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